다이소에 갑니다 - 리테일 브랜드의 UX 리서치 리포트
유엑스리뷰 리서치랩 지음 / 유엑스리뷰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대 5천 원의 저렴한 가격에도 ‘연매출 3조 돌파’ 타이틀을 거머쥐며 약진하고 있는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 대한민국 국민 누구에게나 친숙하면서도 독보적인 입지를 가진 브랜드이다.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른 구매가 가능한 이커머스가 이미 상용화된 지 오래지만 오프라인 매장 중심의 다이소는 굳건하게 성장세를 이어 가고 있다. 《다이소에 갑니다》는 그 비결이 다름 아닌 ‘UX’에 있다고 보고 다이소 고객들의 경험을 집중적으로 탐구했다. 이 책은 인구통계학적 다양성을 고려하여 선별한 고객들과 장시간 심도 있는 인터뷰를 진행하고, 대표성을 띤 경험 코드들을 중심으로 유의미한 내용을 추출하여 선보인다.

내 기억의 다이소는 낮은 가격대의 제품을 파는곳이었다. 그때의 다이소는 이름과 다르게 모든 생활용품이 다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요즘의 다이소는 다르다. 이름과 걸맞게 내가 찾는것이 다 있다. 문구제품과 다어어리 꾸미기의 인기가 있다가 식었을때, 갑자기 다이소에 디자인 문구 제품이 많아져서 다시 다이어리 꾸미기가 유행이 되었다. 예전에는 찾는 제품이 없었는데, 요즘은 찾는 제품이 더 저렴하게 판매되어 가고 있고, 다이소에 이런것도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하면 어느샌가 그제품이 출시되기도 한다.

누군가에게는 내방이 작은 다이소라고 한다. 그만큼 다이소 제품을 많이 활용하고 있고 다이소덕후라고도 불린다.

다이소는 정말 지점마다 판매제품이 다 다르며, 배치또한 다 다르다. 예전에는 시간이 좀 뜰때 카페에가곤 했는데

요즘은 다이소구경을 한다. 최근 도장실기자격증 시험을 볼 연습을 할때도 다이소 제품을 활용했다.

페인트 붓이나 페인트 잉크들을 화방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해서 연습을 하기도 했다. 다이소에 방문한 사람들을 인터뷰하면서 다이소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다이소가 다른 시장경쟁에서 어떻게 변화해서 살아남았는지 알 수있었다.

가격만 보고 가격만 생각해서 다이소가 성장해왔다면 지금처럼 하나의 큰 브랜드로 자리잡지 못했을것이다.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어떤 유행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야 하며, 어떠한 가격으로 어떠한 제품을 판매해야할지

어떤 마케팅으로 홍보를 해야할지의 고민이 지금의 다이소를 만들어 낸것 같다. 다이소의 성공 사례를 국내 고객의 시각에서 접근하여 탐구하고 인터뷰하며 스토리보드나 사용자 여정지도로 구체적 으로 내용을 담은것이 다이소 UX 분석에 도움을 준다.

UX에 관심이 있거나 브랜드 마케팅을 하는 분들에게, 다이소를 애용하는 분들에게 추천하면 재밌게 읽을 수 있을 책이었다.

*출판사 UX리뷰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직접 읽고 쓴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다이소에갑니다 #다이소꿀템 #다이소쇼핑 #트렌드 #인터뷰 # UX리서치 #국민가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