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 대화술 - 속마음 들키지 않고 할 말 다 하는
이노우에 도모스케 지음, 오시연 옮김 / 밀리언서재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시때때로 심리적 방어선을 넘어서 나를 신경 쓰이게 하는 사람

‘네가 나갈래, 내가 나갈까’ 하기 전에 상대의 심리를 파악하고 말하는 방식을 조금만 바꿔보자 라기엔 사직서 낸 다음날 읽어버린 나의 센스 ^^

나는 인간관계를 대할 때 말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스트레스의 농도가 달라지는것 같다.

사회생활에서 제일 버티키 힘들었던것도 업무가 많아서가 아닌 고압적인 태도와 명령조의 말투, 다른 사람을 깔보는 어투가

제일 참기힘들었고 그것 때문에 이직을 결심하게 된것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이직을 결심했을땐 항상 상사들이 이러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나도 이런 성향이 있지 않을까, 내 아랫직급의 사원들도 이런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사실 나는 내의견을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너무 어렵다. 말주변이 없는데, 내 생각을 어떻게 정리해서 전달할지 고민의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업무를 할때 신중하게 하려고 머뭇거리는것을 상사들은 아니꼬와한 경우로 받아들일때가 많았다.

그래서 이 책제목처럼 속마음을 들키지 않고 할말을 다하는 심리대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싶었다.

이책을 너무 늦게 읽어버린 탓일까 싶지만 그래도 내가 나중에 사용하기 좋은 팁들이 담겨있을것 같은 책 제목이다.

사회생활을 할때 심리적 방어선을 넘어서 나를 신경쓰이게 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파악하고 말하는 방식을 알 수있는 책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나에게 사회생활은 일을 하는것만이 아닌 사람을 상대하는 일을 배우는 것 같다. 전회사에서 사회생활의 거지같은 면모를 다겪은 줄 알았는데, 이직한 회사에서 고작 반년을 다니고 퇴사를 결정하게 된 나에게 이런책이 위로가 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런 자기계발서를 읽고 내 마음가짐, 내심리상태를 조금 이나마 변화시킬수 있을까 의심이 들었다. 근데 이책을 읽고 나서 나의 마음가짐이 바뀌게 되었다. 사실 아직도 여전히, 나는 잘 모르겠다. 내가 어떻게 말을 해야할지, 어떻게 말을 꺼내야 할지, 내 마음을 속이고, 들키지 않고 내 마음을 말 할 수 있는 지 잘 모르겠다. 사회생활은 사실 능력 뿐만 아니라 많은 것들을 수반하고 많은 것들을 잘해야 만 한다고 느낀다. 이런 것들을 사회생활을 고작 5년겪은 내가 깨닫고 있다. 생각하면 할 수록 나는 회사생활이랑 내 성향과 맞지않는것 같다.

아르바이트가 내 평생인생을 먹여살릴 수만 있다면 아르바이트를 하는 삶을 평생으로 삶고싶다. 하지만 그런건 내 미래가 보장되어 있지 않는 삶이니, 그래서 꾸역꾸역 일을 해낸다.나는 또 퇴사를 하고 일을 찾아 이력서를 뿌리고 면접을 보고 또 새로운 회사에 들어가겠지? 그리고 새로운 직장에 가서 마음의 상처를 얻겠지. 지금의 나로서는 잘모르겠다. 이런 마음 가짐으로 삶을 지속해 나갈 수 있을지, 그래서 이런 심리도서를 더 싫어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래도 이책을 읽으면 나를 괴롭히는 심리에 대한 배경을 파악하고 어느정도 마음을 정화할 수 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심적으로 마음을 공유하고 있는 상사에게 업무나 직업에 대해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었지만 이런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기 어려웠는데, 그리고 사회생활을 하면서는 누가 알려주지 않는 주제이기 때문에 참고서로 좋을 심리도서였다.

업무량과 질은 주변 사람들과 상의해서 어느 정도 서로 배려 할 수 있습니다. 산업의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고도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해결하기도 어렵고 오랫동안 힘들어하는 것이 바로 인간관계입니다.

일에 대한 고민의 80퍼센트는 인간관계 때문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직장 내 인간관계로 고민하는 것일까요?

p.17

성가신 상사에게 신뢰받으려 하지 말라는 것과 함께 기억해야 할것은 성가신 상사에게는 좋은 인상을 주지 않는 것이 정답이라는 것입니다.

p.71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해낼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이라도 사실은 잘 못하는 일도 있을 겁니다. 모든 면에서 100점 만점을 받는 사람은 없고, 애초에 일상 업무에서 100점 만점이 요구되는 일도 거의 없습니다.

당신이 보기에는 고작 60점이지만 남들이 보기에는 충분히 합격 점수입니다. 일단 60점만 맞으면 나에게 합격증서를 줄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긴장을 풀어보세요.

p.190

*출판사 '밀리언서제'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직접 읽고 쓴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속마음을들키지않고할말다하는심리대화술 #이노우에도모스케 #오시연옮김 #밀리언서재 #오피스빌런 #심리대화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