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노을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82
이희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의 노을>은 '페인트'작가 이희영의 신작도서이다. 18세에 조금 빨리 철이들어버린 애늙은이 아들과 34세 철없는 엄마 , 이 두사람 사이에서 벌어지는 이야기가 담겨있다. 가족의 의미를 새롭게 살펴본 장편소설이다.

고등학교때 아들을 낳은 34세 미혼모인 엄마와 그런 씩씩하게 삶을 살아가는 엄마를 보며 자라온 나이에 비해 조금 빨리 어른이 되어버린 18세 아들의 이야기는 보통의 가족과는 조금 거리가 먼 가족이다. 저자는 이러한 주인공들의 설정으로 '보통의 의미'를 독자들에게 묻는다.

이책의 주인공 노을은 작은 공방을 운영하는 엄마와 단둘이 살고 있다. 노을의 엄마는 노을을 17살에 낳았다. 젊은 나이에 아들을 낳아 또래친구들의 엄마보다 젊지만 동안인 얼굴도 그녀를 좀 더 어려보이게 한다. 옷가게 직원이 노을의 여자친구라고 착각할 정도로 말이다.

노을은 어렸을때부터 동네친구인 성하의 아버지가 하는 짜장면 집에서 주방알바를 한다. 그리고 성하의 오빠인 성빈은 노을의 엄마를 5년동안 바라봐왔다. 노을의 엄마는이런 성빈을 밀어냈지만 그의 기다림이 계속 되지 조금씩 마음을 연다.

그래서 노을은 이런 성빈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다. 자신의 엄마가 성하의 오빠인 성빈같은 나이가 많이 어린 연하남보다는 평범한 사람을 만나길 바라기 때문이다.노을의 주변에는 동우라는 친구도 등장한다. 우연히 노을이 중국집에서 알바를 하는것을 알게되고 중국집 사장님의 딸이자 노을의 염색체만 다른 오랜친구 성하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동우가 성하에게 관심을 가지니 노을은 마음 한켠이 이상해짐을 느끼기도 한다. 이렇게 성하와 동우, 노을의 엄마와 성빈, 성하아빠 , 노을과 성하 등 다양한 관계들에 대한 다채로운 사연들이 나온다.

읽다보면 조금 의아하고 의문을 들게 만드는 이야기들이 나온다. 그 중심의 인물은 노을이다. 다른사람들과 다른 성장배경으로 평범하지 않다고 해야할지, 이런 성정과정속에서 내가 노을이라는 인물이었으면, 이런 사연들이 평범한것들이라고 다가오는지 생각을 하게되는 소설이었다.

우리에게는 늘 고정관념이 존재하고, 그 고정관념들은 무의식적으로 작용하는 것같다. 내 기준들이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그건 정상적이지 않는것이라고 판단하는것이 과연 옳은 일일까? 그냥 내기준에 맞춰진 것이기 때문에 보통인 것이지, 노을의 기준에는 노을의 삶이 보통이지 않을까.

우리들의 성장배경과 다르다고 노을의 삶 모든것이 비정상적이고, 평범하지 않은 인생은 아닐것이다. 다양한 사연들과 이야기들은 후반부로 가서 좀더 빠르게 휘몰아 친다. 나는 보통과 평균을 어떤 의미로 생각하고 있었는지, 나라는 기준에 타인의 모습을 편견을 가지고 바라봤는지 반성하고 생각하게 되었던 소설이다.

겨울이 지나면 새봄이 올 것이다. 이른 봄을 느끼는 사람도, 아직 겨울이라 말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환절기에는 거리에 다양한 옷차림이 보인다. 여전히 패딩을 입은 사람과 파스텔 톤 봄 재킷을 걸친 사람들 말이다. 그러나 누구도 상대의 옷차림을 이상하게 생각지 않는다. 환절기는 모든 옷이 통용되는 제5의 계절이니까. 나는 세상이 환절기처럼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이길 바란다. 두꺼운 무채색 패딩도, 나풀거리는 파스텔 톤 봄 재킷도 모두가 정답이 되는 세상 말이다.

<보통의 노을> 中

* 출판사'자음과모음'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직접읽고 쓴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보통의노을 #이희영 #자음과모음 #페인트작가 #책스타그램 #청소년소설 #청소년문학 #테마소설 #청소년성장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