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부분을 읽으며 직장내의 내 자리는 어떤지 생각해보았다. 책상은 비교적으로 깔끔하게 정리되어있었지만, 서랍과 그주변이 문제였다는 것을 깨달았다.
언제부터 쌓여있을지 모를 서류들과 참고 책자들이 쌓여 있었다. 서류들은 무엇이 중요한것인지 아닌지가 구분이 되어있지 않고 쌓여있어서 어떻게 어디서부터 건드려야 할지 고민이 되었다. 책속 사례도 보니 나와같은 경우가 많았다. 저자는 이러한 서류들을 한곳에 모아놓고 하나하나 살펴보라고 한다. 영감을 주는지 아닌지로 정리할수 없는 품목이니 내용을 확인하면서 카테고리별로 분류해야 한다.
'미결서류'와 반드시 남겨야 하는 '필수 보존 서류' 남기고 싶은 '희망 보존 서류'다. 언제 필요한지, 얼마나 자주 보는지 날카롭게 질문들을 던져 꼼꼼하고 철저하게 서류를 정리해야한다고 말한다. 이렇게 정리해서 버려도 서류는 다시 처음과같이 쌓이게 되기 마련인데 , 저자는 이러한 걱정을 할필요없다는 몇가지 규칙들을 알려준다. 1.모든 서류를 마지막 한장까지 분류하고 2. 서류는 세워보관하고 3.미결서류함을 만는다. 4. 스캔의 함정을 주의하며 정리를 한다면 매일 정리된 서류들을 만날수 있을 것이다.
책상을 좀더 깔끔하고 똑똑하게 수납할수 있는 방법도 알려준다. 첫직장생활을 시작할때의 로망이 있었는데 , 그건 바로 사무실속 내 업무공간을 꾸미는 것이었다. 모니터주변에 포스트잇, 메모지,명함등을 쌓아놨었는데 지금은 상자들을 활용하여 한군데에 모아두었다.
저자도 책상정리를 상자를 활용해 수납하자고 말한다. 자리를 정해 카테고리별로 수납하고 ,상자를 이용해 물건을 세워 보관하고, 책상위에는 아무것도 두지 않는것을 원칙으로 하자고 말한다. 그 이유는 책상위는 수납공간이 아닌 작업공간이므로 모든물건은 서랍장과 선반에 자리를 정해수납하라고 한다.
비물리적 업무공간을 점검하는 방법도 간단하다. 우리가 원하는 직장생활을 그려보고, 카테고리별로 업무를 분류하고, 명확한 마감 시한을 정하며 ,한번에 빠르고 완벽하게 정리하면된다고 추천한다. 정리를 시작하면 그정리 노하우를 다른 분야에도 활용하고 싶어지는 마음이 저절로 들테니 정리의 엄청난 파급효과를 활용해 물리적 시각적 정리를 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것까지 차근차근 정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