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은 어떻게 글이 되는가 - 정확하고 설득력 있는 글을 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서울대 글쓰기 특강'
박주용 지음 / 쌤앤파커스 / 2020년 3월
평점 :

정확하고 설득력 있는 글을 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서울대 글쓰기 특강, 이라는 책 표지의 타이틀만 보았는데도 내마음을 대변해 주는 것 같았다. 나는 책을 읽고 책에 대한 내 생각을 쓰는 서평을 취미로 하고 있는데, 다른 분들의 서평들을 보면 정말 글을 매끄럽고 이해가 쉽게 쓰시는 분들이 많았다. 그런 글을 보면 금방이라도 책을 사러 서점에 달려가고싶은 느낌이 든다. 이처럼 글의 요지를 정확히 잘 집어내는 분들을 보면 나도 본받고 싶다고 생각한다.
글을 보면 그사람의 성격이 보이는 것같기도 하다. 나는 하고싶은말이 많아서 말로 할때도, 글로 쓸때도 쉽없이 말을 하는 것 같다. 문장을 끊어서 이야기 해야지 보거나 듣는 사람이 내가 무슨 주제애 대해 말을 하고 싶은지 이해를 할수 있는데 나는 수많은 쉼표를 사용하여 문장을 계속 이어서 말하는 것 같다.
이책의 저자 박주용은 서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UCLA에서 인지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림대 심리학과,세종대 교육학과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있다.
공부란 일방적인 배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 스스로 생각을 발전시켜나가는 지적 활동 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2010년대 초반부터 서울대에서 글씨기와 토론을 줌싱으로 한 수업을 주도해왔다.
저자박주용은 모든 글쓰기에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한다.
"독서는 지식이 많은 사람을, 토론은 준비된 사람을 , 글쓰기는 정확한 사람을 만든다. "
베이컨의 말을 염두에 두고 우리교육을 되돌아보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바로 파악할수 있다.
많이 읽게 하고 강의로 많은 정보를 전달하지만, 토론과 글씨기는 빠져있다. /P.007 <프롤로그> 中
이 문장만 보아도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을 되돌아 볼 수 있다.
나는 초등학교 고학년까지만 해도 공부를 꽤 했었다. 학원에서 상급반의 수업을 들었었는데 ,
상급반은 문제를 가지고 개인적으로 푸는것 뿐만아니라 이문제의 답이 어떻게 나왔는지를 서로 토론하면서 풀이해 나갔다. 하지만 대부분 평균적인 교육환경에서는 진도만 나가기 급급해 토론위주의 수업을 하기엔 현실적으로 힘들다. 나는 학창시절에 책 읽는 것을 정말 싫어했었다. 그래서 그런지 논술도 못했고, 글쓰는 활동들을 좋아하지 않았다. 하지만 직장생활을 하고 여러가지 도서를 제공받아 읽게 되면서 독서에 대해 흥미가 생겼고, 지금은 서평활동을 하면서 나름의 교양을 쌓는것이 재밌고 좋다. 이제는 누가 시켜서가 아닌 자발적으로 책을 사고 읽으며 주변 사람들에게 책의 내용을 공유하며 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게 되었다.
저자의 말처럼 글을 쓰는 것도 책을 읽는 것도 무작정 시작할수 없는 것 같다. 나는 많은 활동에서 느끼다시피 글도 글씨도 수많은 훈련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책이 나에게 좀더 글을 조리있게 쓸수 있는 계기와 도움을 줄것같다. 어쨌든 글을 잘 쓰려면 나의 노력도 필요하니 나에게 글을 잘 쓸수 있는 지침서가 되었으면좋겠다.
총8장으로 구성되어있다.
1장 : 왜 우리는 글을 쓰는가?
2장 :논리적 글씨기를 위한 첫걸음
3장 :자료수집부터 요약, 정리까지
4장 : 생각을담아 글로 반응하라
5장 : 여러 주장들로부터 독창적 주장 만들기
6장 : 완성도 높은 초고 쓰기
7장 :퇴고_구조와 문장을 다듬기
8장 : 평가와 코멘트
저자는 더 많이 더 잘쓰기위해서는 현재 모든 대학에서 교양 필수로 지정된 글쓰기 수업이 있지만, 그것들로는 턱 없이 부족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전문가를 늘리기 위한 노력과 함께 비용절감을 하며 글쓰기 교육을 강화할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대학은 물론 지적 탐구를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글쓰기의 초점은 논리적으로 글쓰기 일것이다.
자신의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그리나 창작을 위한 허구적인 글씨기도 나름대로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이책은 말한다. 자신의 주장을 펼치려면 학생때부터 꾸준히 연습을 해야 논쟁이 활성화 되고, 그 과정에서 특수성이 반영된 보편적인 이론을 발전 시킬수 있다고 한다.
그외에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 알려주며 글을 논리적으로 쓸수 있는 방법에 대해 훈련할수 있는 것들을 알려준다. 논리적 글쓰기의 기초는 요약문 쓰기 , 그리고 여러가지 제시문을 제공하며 책속의 글들로 바로 훈련할수 있게 도와준다. 책을 읽으며 방법을 알려주고 바로 훈련을 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았다.단순히 책을 읽었다는 느낌보다는 하나의 강연을 본것 같았다. 그만큼 논리적으로 글을 쓰는 방법, 글을 쓰기위해 우리가 준비하고 훈련해야 할 것들에 대해 알려주고 논술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들이 알차게 들어있고 바로 활용 할수 있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책을 최대한 활용해 좀더 서평을 조리있게 쓰도록 훈련해야겠다고 느꼈다. 이책을 잘 활용하여 조리있게 글도 쓰고 말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리고 논리적으로 글을 쓰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겪거나, 시작하기 힘든 사람들에게도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생각은어떻게글이되는가 #쌤앤파커스4기 #쌤앤파커스 #서울대글쓰기특강 #자기계발 #논리적으로글쓰기 #서평 #세바시화제의강연 #글쓰기수업 #서울대박주용교수 #박주용 #글쓰기실전교과서 #창의적 #정확히글쓰기 #글 #논술 #글쓰기스킬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책추천 #글쓰기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