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보는 미술관 - 나만의 감각으로 명작과 마주하는 시간
오시안 워드 지음, 이선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채로운 명작들을 책에 담았다.

전세계 박물관에 흩어져있는 명작들을 이책한권 속에서 만날수 있어서 좋았고,

좋아하는 반고흐의 작품과 그작품들의 설명, 그리고 도슨트의 설명이 아닌 내가 읽고 나만의 감각으로 명작과 마주할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요즈음은 혼자 전시회를 보러 다니는 것을 좋아한다.

어느샌가 우리나라의 전시회는 사진회를 방불케하는 기분이 들었다. 조용히 전시작품을 감상하려면 마감시간이 얼마남지 않은 시간에, 또는 평일 낮시간때에 가야지만 조용하고 차분하게 작품을 감상 할수 있는것 같다. 물론 작품을 찍고 작품앞에서 사진을 찍는 행위들은 잘못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정말로 작품을 눈으로 보고 마음으로 감상하는 사람들에게는 방해가 되는 요소들이다.

그러한 시끌벅적한 전시회의 분위기와 대조되는 느낌이 들었다. 물론 내가 직접 이 명화들이 있는 나라 곳곳에 가서 작품을 볼수 없기 때문에 , 책으로 나마 이작품들을 세세히 파헤칠 수 있고 작품속의 이야기들을 알수 있어서 좋았다.

틀에 박힌 설명들로 틀에 박힌 생각들을 하는것이아니라, 다양한 생각과 영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사실 고전미술 하면 어렵다고 느끼고 이해하기 어려워서 꺼려했는데 책으로 읽으면서 명화도 쉽게 다가갈수 있고 고전 미술과 관련된역사의 흐름도 이해할수 있어서 좋은 계기가 되었던 책인것같다.


저자 : 오시안 워드는 리슨 갤러리LISSON GALLERY에서 전시물을 총괄하는 책임자로 일했다. 런던의 미디어 기업 타임 아웃TIME OUT에서 미술 평론 책임자로, 예술비평가, 시각예술 에디터로 6년 넘게 일했다. 미술을 잘 보기 위해 읽는 사람들이 언젠간 읽지 않고도 제대로 보는 순간을 맞이하길 바라며 미술과 관람자에 대한 글을 쓰고 있다. 〈이브닝 스탠다드〉, 〈가디언〉, 〈에스콰이어〉 등 다양한 간행물에 글을 기고해왔다

프롤로그 TABULA RASA: 아무도 없이, 누구나 쉽게

_A New Way of Seeing the Old 4

1 사유는 붓을 타고: 철학이라는 캔버스

_Art as Philosophy 64

2 보이는 그대로, 마음이 느낀 대로: 진짜 같은 장면의 속내

_Art as Honesty 90

3 그림은 무대고, 조명이고, 주인공이다: 화폭 속의 명연기

_Art as Drama 118

4 탁월함에는 논쟁이 없다: 아름다움의 기준

_Art as Beauty 144

5 가장 그리기 어렵고 가장 느끼기 쉬운: 공포와 두려움

_Art as Horror 166

6 어울리지 않는 것들의 하모니: 모순의 암시

_Art as Paradox 190

7 빗대어 비웃는 그림들: 진지하게 건네는 농담, 풍자

_Art as Folly 212

8 액자 너머의 그림을 읽다: 그리는 이의 마음을 보는 법

_Art as Vision 240

책속으로

케케묵은 명성이나 해석을 무조건 신뢰하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박물관의 오디오 가이드와 안내 책자, 전시장 벽에 붙어 있는 설명이나 해석을 도와주는 온갖 자료에 의지한 채 자신의 눈으로 보려는 의지는 없는 관람자의 잘못이기도 하다. 작품에 대한 정보가 너무 많아지면 그게 걸림돌이 되어 무감각한 눈으로 그림을 본다. 스스로의 감각이 아니라 이미 주어진 온갖 자료에만 의지하는 게으른 관람자가 되어버린다.  /p10, 프롤로그 - TABULA RASA: 아무도 없이, 누구나 쉽게프롤로그 - TABULA RASA: 아무도 없이, 누구나 쉽게

#RHK북클럽1기 #RHK_KOREA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고전미술 #명화 #명화읽기 #혼자보는미술관

#서평단 #서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