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밤에 읽는 서양철학 - 쉽게 읽고 깊게 사유하는 지혜로운 시간 하룻밤 시리즈
토마스 아키나리 지음, 오근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룻밤에 읽는 서양철학‘이라는 이책은 말 그대로 서양철학자들을 정리해 묶어놓은 책이다.

자격증시험을 준비하면서, 한번쯤은 봤을 법한 철학자들도 있었고, 처음 듣는 철학자들도 있었다. 철학이라는 학문자체를 좋아하지 않아 관심은 없었지만 한권으로 서양철학사의 흐름을 알게되면 좋을거 같아 이번 RHK 북클럽1기에서 읽게 되었다.

"철학이란 인생,세계 등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철학이라는 용어를 소크라테스에서 시작한다. 이책에서도 소크라테스가 첫 목차에 있었다. 소크라테스가 문제를 삼았던건 자연이 아니라 인간이다. 이 인간은 영혼으로서 인간이며 소피스트에서 볼 수 있는 개인적 인간이 아니라 보편적인간이었다. 영혼은 지혜를 기능으로 하는 이법이며 이 이법은 소피스트들의 인위적인 것에서 부정된것이며 인간의 본질이다. 인간이 영혼을 잘 가꾸는 것은 지헤를 사랑하는 것이며, 그것이 곧 철학하는 것이다. " 라고 말하며 여기서 철학이라는 용어가 나온것이라고 한다.

/ [네이버지식백과 참고]

사실 소크라테스의 철학에 대한 개념정의만 보아도 무슨 말인지 도통 이해가 안간다.

그래서 내가 철학이라는 학문을 별로 안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책을 읽으면서도 어려운 단어들과 설명이 많아서 조금 이해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확실한 하나는 서양철학의 흐름을 전반적으로는 이해할수 있어서 좋았다.

철학에 대해 세세히 공부하고 싶으면 이책으로 기본적 흐름은 이해하고 공부하기에 좋은 책일 것 같았다. 철학이라는 학문이 단순히 철학적 사상과 연관되어 있는 것이아니라 시대의 흐름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철학이란 무엇인가, 인간이란, 인생이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와 더불어 매우중요하고 난해한 문제인 것 같다. 철학이라는 학문은 폭이 아주 넓고 그대상이 너무 많기 때문에 철학이라는 것 자체하나만으로 정의될 수는 없다.

건축물을 짓는데도 사상이 영향을 주어 디자인적인 요소에도 많은 변화를 주기 때문이다.

철학하는 방법도 소크라테스의 문답법,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종합적 방법, 임마누엘 칸트의 선험적방법, 신비적 직관을 통한 고행적 방법, 관념의 기원과 본질을 탐구하는 심리적 방법,형이상학적 방법, 분석적 방법, 변화하는 실제의 세계를 직관을 통해 직접적으로 파악하려는 직관적 방법,등 매우많았다.

철학이라는 학문을 연구하려면 아주많이 알아야 하고 끝도 없이 연구해야 될것같은 기분이 들었다. 철학이라는 것이 본질적으로는 인간, 우주, 인생을 연구한 학문이다보니 어쨌든 인간과 연결되어 있고 그래서 나 자신에 대해서도 생각하고 감정이나 기분을 다스릴 때 읽으면 좋을 것 같았다.

우리는 매일 무엇을 생각하며 살고 있을까? 친구에 대해,연인에 대해,학교 또는 회사에서의 문제,아무튼 뭔가 즐거운 일... 우리가 생각하는 주제들은 대체로 몇가지 유형이 정해져 있다. 블록 쌓기를 생각해보면 쉽다. 하나의 규격 안에서 조합만 다양하게 바꿔나 갈 뿐이다. 가끔 인생이 다람쥐 쳇바퀴 돌 듯 같은 것들만 보고 듣는 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뭔가 좀더 재미있는 일은 없는지 사람들은 두리번거리거나 주변을 들취보기도 한다. 여기서 철학이 등장한다.철학의 역할은 지금까지 생각도 하지 못했던 당연한 현실에 사고의 칼날을 들이대고, 때로는 상식을 초월하 논리를 가져와 전혀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P.33 <아르케의 사색과 자연철학>中

인간은 본질적으로 끝없는 행복을 추구하는 존재다. 따라서추구하는 목적이 불변의 ‘영원한 존재’가아닐 경우 느끼는 불안감, 또는 이 목적을 달성했다 하더라도 그것을 언젠가는 잃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씻을 수 없다. /P.69 <아우구스티누스와 고백록>中

어째서 세계는 ‘있는’ 것일까? ‘있는’것보다도 처음부터 아무것도 없는 것이 더 자연스럽지 않을까? 도대체 ‘있다’는 것은 뭘까? /P.213 <존재론> 中

목차

1장 사색하는 사람의 기원_고대·중세 사상

1 소크라테스 : 윤리적 주지주의

올바른 것을 가장 먼저 고민하다

2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 이데아론, 형이상학

본질과 형상을 구분 짓다

3 예수 그리스도·바울 : 유대교, 그리스도교

타인을 대하는 한없이 착한 마음

4 아우구스티누스.토마스 아퀴나스 : 스콜라 철학

영원 앞에서는 모든 것이 사소하다

2장 신을 파헤치는 사람들_근대 사상

5 데카르트 : 방법적 회의

논리를 놓아야 진리가 보인다

6 스피노자 : 범신론

모든 것이 곧 신이다

7 로크.버클리.흄 : 경험론

인생을 과감하게 초기화한다

8 칸트 : 비판 철학

흔들리지 않는 기준을 갖다

9 헤겔 : 절대적 관념론

모순을 명쾌하게 해결한다

3장 인간에게 존재를 묻다_현대 사상

10 키르케고르 : 신 앞에 선 단독자

좌절하는 것이 당연하다

11 니체 : 힘에의 의지

신은 죽었다 초인을 소망하라

12 프로이트 : 무의식과 정신분석

꿈과 무의식에 진짜 내가 있다

13 후설.하이데거 : 존재와 현상학

당연한 존재는 없다

14 사르트르.메를로퐁티 : 의식과 실존주의 철학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15 비트겐슈타인 : 논리철학

언어가 세계를 짓는다

16 소쉬르.레비스트로스 : 언어학과 구조주의

이면에 존재하는 구조를 활용하라

말을 고르고 구조를 응용하고 265

17 마르크스.알튀세르 : 사회철학과 마르크스주의

노동하는 삶을 위하여

18 데리다.들뢰즈 : 후기구조주의

해체가 주는 해방감

19 제임스.듀이.로티 : 실용주의 철학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길은 열린다

#RHK북클럽1기 #하룻밤에_읽는_서양철학 #서양철학 #RHK코리아 #토마스아키나리지음

#오근영옮김 #철학 #학문 #인간 #인생 #우주 #이론 #서평도서 #서평단 #서양사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