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자열매술꾼 열림원 이삭줍기 1
아모스 투투올라 지음, 장경렬 옮김 / 열림원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책이나 영화에서 사람들이 얻고자 하는 것은 충분히 있을수도 있지만 역시 내게는 생기지 않는 일을 간접경험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한편 그 누구에게도 절대 일어나지 않을 환상적이고 허무맹랑한 일을 상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근래에 봇물 터지듯 쏟아져나오고 인기를 끌고 있는 ‘해리포터’와 ‘반지의 제왕’류의 책들이 그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금, 아주 작고 낯선 책 한권이 내 머릿속을 유쾌한 상상으로 온통 헤집어 놓고 있다. 열림원에서 나온 이삭줍기 시리즈는 세계 문학,사상의 아웃사이더들을 이삭 줍는 마음으로 발굴했다는 작품들이다. 이삭을 줍듯이 알려지지 않은 작품들을 발굴했다는 그 말이 난 참 마음에 든다. 작가의 인지도도 국력에 비례하는 건지 (물론 예외도 소수 있겠지만..) 선진국의 작가의 글들은 너무나 많이 번역되서 쉽게 접하게 된다. 그리고 그만큼 이국적 자극도 해가 갈수록 덜해져서 식상해져간다. 나이지리아의 아모스 투투올라라는 낯선 이야기꾼의 이야기를 듣고 있자면 우선 심한 당혹감을 느낀다. 전체적으로 문장이 세련되지 않고 서툴고 투박한데다 이야기 앞뒤가 맞지 않는 듯 엉성함 투성이다. 열살짜리 어린애였을 때부터 야자열매술 마시는 일 이외에는 어떤 일도 하지 않았다는 술주정뱅이의 모험담은 그야말로 술주정처럼 과장되고 황당하다. 그의 이름은 너무나 뻔뻔스럽게도 자칭 ‘이 세상에서 할 수 없는 일이 하나도 없는 신들의 아버지’이다. 술주정뱅이에다 뻔뻔하기까지 한 그의 모험담은 그러나 순수하고 유쾌하다. 신체 각 부위를 빌려서 멋진 신사가 되는 해골과 뒤로 걸어야만 하는 죽은사람들의 마을과 소원을 들어주는 신비한 알 이야기등 민담과 신화에 바탕을 두고 창작된 이야기들은 아프리카 특유의 생명력과 숨결을 느낄 수 있다. ‘죽음’을 팔아버렸기 때문에 죽을 순 없었지만 ‘두려움’은 팔아버리지 않았기 때문에 두려울 수 밖에 없었다는 내용은 다듬어지지 않은 거칠고 원초적인 원석을 보는 듯 경이롭기 까지 했다. 세계적 작가들의 세련된 문장에서 매끄러운 감동을 느꼈다면 이 책에서는 마치 할아버지 무릎에 앉아 구수한 옛날 이야기를 듣는 듯한 푸근함을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