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의 시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유유정 옮김 / 문학사상사 / 200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난 흔히 말하는 베스트셀러, 그중 특히 소설류는 잘 읽지 않는다. 그 책들 중 대부분이 통속적인 사랑이야기가 많았고, 그도 아님 이리 꼬고 저리 뒤집는 그래서 그 난해함으로 절대 통속적이지 않는 진짜 문학이라고 주장하는 책들이 많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몇 번의 선택의 실패 후에 소설을 읽으려면 차라리 많은 세월 많은 사람들에게 검증받은 고전문학을 읽는게 안전하겠다는 생각까지 한 터였다.
‘무라카미 하루키’ 라는 이름과 비틀즈의 ‘노르웨이 숲’… 도대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그 이름들에 대해서는 도대체 어떤 책일까 하는 호기심이 생겼다. 드디어 난 하루키의 문학에 조금 비집고 들어갔지만 아주 잠깐, 아주 얕게 들어간 때문인지 아직 그에게서 별다른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왠지 모르지만 그저 자유로와 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주문처럼 책을 읽는 내내 마음 속 어딘가에서 외치고 있었다. 사람들에게서, 사회적 규칙, 관습에서 그리고 성에서까지 자유롭고 싶다는 생각.. 어쩌면 우리 주변의 사람들의 잣대로 보면 어딘가 평범치 않고, 조금은 비뚤어지고 모자라고 공허한 인물들이 주로 등장하는 이 책은 어찌보면 현실성의 결여로 보일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 내면 어디가엔 차마 표출하지 못한 모자라고 비뚤어진 면들이 있지 않을까? 다른 사람에게 들킬까봐 오히려 너무나 정상적이고, 너무나 현실의 관습에 적응이 잘 돼서 아무런 문제도 없다는 듯이, 삶 자체가 당연한 순리대로 그저 살아가는 것이라는 듯이 잘 살고 있는 척 하는 것은 아닐까?
어쩌면 태어나면서부터 주어진 관습과 규칙에 맞추어 살도록 조금씩 쇠뇌되어 쇠뇌되고 있다는 사실조차도 이젠 알아채지 못하면서.. 그는 매일 아침 태엽을 감는단다. 한 36번쯤.. 태엽을 감으며 오늘도 성실하게 계획에 맞춰 잘 살 수 있도록 한단다. 하지만 일요일은 감지 않고. 조용하고 평화롭고 고독한 일요일엔 태엽을 감을 필요가 없으니깐. 난 몇 번을 감아야 하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