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러건트 유니버스
브라이언 그린 지음, 박병철 옮김 / 승산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과 예술은 현실도피적인 학문이라고 아인슈타인이 그랬던가? (내 기억이 확실친 않지만..) 난 누구보다 그 말에 공감한다. 회사일로 집안일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고 스트레스를 받을 때 과학관련도서를 읽는다든지 전시회나 음악회를 다니면 내 머리속을 그토록 어지럽혔던 일들이 왠지 하챦게 느껴지곤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번엔 경제적인 궁핍함까지 나를 괴롭힌터라 비싼 음악회 대신 이 책을 고르게 됐다. 역시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우리를 둘러싼 세상의 물리적 이치와 우주가 왜 이런 모양으로 생겨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책을 보며 난 나를 둘러싼 또 하나의 세상(골치아픈)을 잊으려고 하니 참 아이러니하다는 생각이 든다. 오늘도 난 사무실에서 왕창 스트레스를 받아서 씩씩거리며 퇴근을 하다가 어느 순간엔가 ‘음… 우주가 11차원이란 말이지.. 그럼 그게 어떤 모양이 되는거지?…’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랬다. 상대성이론이라든지 양자역학, 만물의 최소단위가 진동하는 고리형 끈이라는 끈이론등으로 우주 생성의 비밀을 파헤치는 현대 물리학을 차근차근 읽다보면 항상 부족한 월급 때문에 짜증나는 내 주머니 사정이나 맘에 안드는 동료직원의 거슬리는 행동등도 하챦게 느껴졌다. 상상하기도 어렵게 무지하게 큰 우주에서 내 고민은 너무나 작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사무실로 책이 도착했을 때 주위 사람들은 전공도 아닌데 이런 책을 왜 읽느냐며 희한한 눈초리로 쳐다보곤 한다. 난 당당하게 이 책은 전공자를 위한 전공도서가 아니라 일반인을 위한 교양과학도서라고 말해주지만 여전히 납득할 수 없다는 듯한 그들의 눈초리는 그저 무시할 수 밖에… 외국은 이런 책들이 잘도 팔린다던데..

정말이지 이 책은 나처럼 물리학에 문외한인 사람들도 충분히 이해할 만한 책이다. 물론 우주나 물리학에 관심은 있어야겠지만.. 너무나 익숙하지만 전혀 이해할 수 없었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역시 쉽게 설명해주고, 양자역학과 현대물리학계의 초미의 연구대상인 초끈이론까지 그 흐름을 매끄럽게 이야기 해준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지만 가까이 하기 어려웠던 우주 탄생의 이야기와 왜 하필 이런 모양으로 변형되었는지, 블랙홀에 대한 이론적 접근에 대해서도 쉽게 풀어서 설명해준다.

저자는 과학자라는게 믿어지지 않는다. 보통 과학자들하면 두꺼운 안경에 고리타분하고 어려운 물리용어나 수학공식을 남발(?)하는 사람으로 여겨지는데 책을 읽는 내내 그가 무척이나 친절하고 배려가 깊은 사람일거라는 생각이 든다. 특히나 난해한 물리이론들을 실제생활의 유머러스한 상황이나 마치 SF영화를 보는 듯한 장면등을 예제로 들어 설명하는 걸 보면 이야기를 지어내는데 대한 천재성까지도 느끼게 된다.

“무언가를 전문용어 없이 일상적인 언어로 설명할 수 없다면, 그것은 당신이 그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증거다”라고 말한 어니스트 러더프드의 말대로라면 저자는 현대물리학의 모든 이론들을 완벽하게 이해한 사람임에 틀림없다. 비록 우리는 타인에게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을지라도 그 흐름만이라도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현대를 살아가면서 과학의 변방에 머물러 있지 않아도 되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소설읽는 사람을 쳐다보듯이 아무렇지도 않게 과학도서 읽는 사람을 쳐다보는 사회분위기가 하루빨리 조성됐음 하는 개인적인 바람이 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빌보 2005-07-03 17: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썼던 리뷰인데 알라딘 개편되면서 내 리뷰로 자동저장되지 않았다..

아깝다..이런게 꽤 많이 있는 것 같은데..언제 시간 남 다시 찾아내 저장해야겠당..

근데..언제쯤????? 왕 게으름벵이..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