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의 고독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4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조구호 옮김 / 민음사 / 200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시 노인 멜키아데스의 양피지에는 가문의 첫번째 남자는 나무에 묶여있고 마지막 남자는 개미에게 끌려간다. (이게 정확한지는 모르겠지만..) 는 말로 부엔디아 가문의 최후를 예언한다.

그리고 양피지에는 부엔디아 가문의 6대에 걸친 현실같지 않은 일들이 이미 낱낱이 예언되어 있다.

그들은 과연 100동안이나 고독했던 것일까?  옮긴이는 마르께스가 라틴 아메리카의 현실을 빗대어 이 책을 썼다고 상세히 설명해준다.  서양 문물 사이에 끼여 있었지만 그 안으로 뛰어들지 못한 채 오랜 시절 고독에 겉돌았으며 라틴 아메리카대륙의 국가들끼리 근친상간처럼 교류해와서 오히려 퇴보할 때도 많았다는 식으로 말이다.

솔직히 나는 라틴 아메리카의 과거도 현실도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그들의 역사와 아픔이 이 책의 부엔디아 가문의 이야기들과 어떤 식으로 연관이 있는지, 비유가 되었는지 잘 와닿지 않는다.

내가 느낀 건 단지 부엔디아 가문 사람들의 비극과 해학과 신비로움이었다.  책표지에서부터 추천글에 이르기까지 마술적 리얼리즘과 노벨문학상 수상작이라는 난해하고 거창한 말들도 내겐 그저 뜨악한 표현일 뿐이었다.

이 책은 그런 거창한 표현들과는 상관없이 그냥 충분히 재미있는 책이었다. 

소설이 재미있으면 그게 최고이지 않을까?  문학성, 감동의 유무도 물론 중요하지만 언제나 앞서는건 읽는 재미라고 생각한다.   

이야기는 정당한 결투에서 친구를 죽인 후 친구의 유령에 시달려 고향을 떠나게 되는 호세 아르까디오 부엔디아와 우르술라부부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그들과 함께 고향을 떠난 17명의 사람들은 그들만의 이상적인 마을 마꼰도를 세운다.

부엔디아 가문은 마꼰도에서 6대를 내리 살면서 쇠락을 거듭한다.  그들의 자손들 중에는 정부에 반대하는 자유파 대령도 있었고 눈부신 미모로 어느날 갑자기 하늘로 승천하는 여자도 있었다. 

그들 가문의 많은 사람들이 유령을 보았고 유령과 다정하게 대화를 하며 함께 살았으며 또 그보다 많은 자손들은 늘 고독했으며 그 근저에는 근친상간에 대한 유혹이 있었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자손들의 고독과 비극은 빙빙 돌아 어느 때고 되물림 되는 것이다.

결국 부엔디아 가문의 근친상간 후의 자손은 돼지꼬리가 달린 아이를 낳게 된다는 불길한 예언은 지켜지고 거짓말처럼 부엔디아의 마지막 아이는 돼지꼬리를 가진 채 태어나서 개미밥이 되는 신세가 된다.

이 모든 게 이미 집시 떠돌이인 멜키아데스의 양피지에 예언되어 있다는 사실이 부엔디아 사람들의 고독을 더 비극적으로 만든다.  피할 수 없는 운명을 거스르려고 돌고 돌았지만 결국 닿은 곳은 예언의 마지막 약속이였다.

부엔디아 가문은 비극적으로 대가 끊어지지만 그것이 돼지 꼬리 아기의 탄생과 같이 현실같지 않은 설정이여서인지 비극적이기 보다는 해학적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마꼰도와 부엔디아 사람들의 많은 이야기들이 이처럼 우스꽝스러울 때가 많고 환상적이다.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 나서 긴 여운이 생긴다.  도대체 딱히 어떤 기분인지 묘한 여운.  유쾌한 듯 하면서 가슴 속 어딘가가 아리고 쓰린 여운.  웃기면서 슬픈 게 더 슬픈 법이라서 그럴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