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몰랐었다.  옛 그림을 볼 때는 오른쪽 위에서부터 왼쪽 아래로 시선을 옮겨가야 한다는 것을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몰랐었다. 

몰랐었다.  옛 그림을 볼 때는 대각선만큼 떨어지거나 그 1.5배만큼 떨어진 거리에서 감상해야 한다는 것을 몰랐고, 김홍도의 걸작 송하맹호도의 우스꽝스러운 표구가 일본의 솜씨라는 것을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전혀 몰랐었다.

그리고 도무지 어려웠다.  이 땅에 몇 십년을 살면서 나름대로 이런 저런 문화생활을 하면서도 우리 옛 그림은 왜 그렇게 낯설고 어려웠는지.. .  간혹 외국 여행을 할 때면 그 나라의 박물관을 가장 먼저 갔었고 가장 오래 머물렀었다.

그 그림들은 대부분 날 불편하게 하지 않았고 곧바로 기쁨과 환희를 느끼게 해줬다.  교과서에서나 보던 그림을 직접 볼 때의 기쁨은 옛 친구를 만난 기쁨 못지 않았고 비싼 돈들여 찾아갈만큼의 값어치가 있는 듯 했다.

외국 작가의 작품집 몇 권은 익숙하게 내 서재에 꽂혀 있곤 했다.

외국 명화에 대한 관심에 비해 우리 옛 그림에의 관심은 부끄럽지만 10분의 1도 채 되지 않았다.  내가 알고 있는 옛 그림에 대한 지식과 흥미는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본 듯한 그림처럼 빛바랜 기억 정도였다.

우연챦게 이 책을 접하게 되고 책을 읽으면서 난 호암 미술관이나 간송미술관에 갈 생각을 하게 됐다.

김홍도의 여러 그림들이 같은 소재일지라도 양반을 위한 그림에서는 서민들의 표정이 무덤덤한데 비해 서민을 위한 그림에서는 그 표정이 어찌나 활기차고 밝던지 보는 이의 마음도 활달해질 정도였다.  또한 스무고개하듯이 일부러 틀리게 그린 그림들도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교과서에서 익히 봐온 씨름 같은 그림에서는 씨름의 패자가 누구일지 어느 쪽으로 넘어질지 다음 대기선수가 누구일지를 재미나게 설명해준다.  씨름을 한지 어느정도 시간이 경과했는지 그 계절과 그림 속 인물들의 성격도 낱낱이 이야기 해준다.  이처럼 저자는 작은 그림 한장으로 한편의 옛날 이야기를 해 주듯이 강의를 한다.

특히 저자가 전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호랑이 그림이라고 격찬하는 송하맹월도는 실바늘보다 더 가는 한 획 한 획에 명인의 경지에 오른 김홍도의 장인 정신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그에 걸맞지 않은 비단에 요란한 문양의 표구는 일본식이란다.  국립 중앙 박물관이나 호암 미술관에 전시된 옛 그림의 70%정도가 이처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일본식 표구하고 한다.  더욱 안타까운 일은 그림이 상하게 될까봐 다시 표구를 고치지도 못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일본사람들의 뛰어난 표구실력 자체가 한 몫한다고 하니 아이러니한 일이다.

또한 저자는 우리 한국의 전통 문화가 중국, 일본과 비슷한 듯하면서도 실은 완전히 차원이 다르다고 한다.  그리고 문화나 예술은 국경이 없다고들 하지만 예술만큼 국경이 높은 것도 없다고 한다. 

요즘은 예전에 비해서 알게 모르게 우리 생활이 예술 작품들에 많이 노출되고 있고 그 어느 때보다도 서구 문화가 많이 유입되고 있다.  그들의 문화가 우리 것과 고루 잘 섞여 각자의 문화가 존중되어지고 새로운 또 하나의 문화가 생겨난다면 물론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저자도 우려한 바와 같이 어느새 우리 것을 잃어버리고 그보다 더 잃어버렸다는 자각도 하지 못한다는 데 요즘 세대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우리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부심만이 세계 속에서 발전하면서도 자존심을 잃지 않을 수 있는 방편일 것 같다.  자칫 국적만이 대한민국인 외래인이 될 수도 있으니 말이다.

아참, 이 책의 제목만 보고 딱딱한 책이려니 생각하고 고개만 절레절레 흔드는 독자들은 그런 염려는 붙들어 매셔도 좋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