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박물관
움베르토 에코, 에른스트 곰브리치 외 지음 | 김석희 옮김 / 푸른숲 / 2000년 5월
평점 :
품절


한 해동안의 안 좋은 기억 다 잊자면 왁자지껄 망년회를 하면 새해를 맞았다. 다시 맞이하는 한 해를 위해 이런 저런 계획을 짠다. 물론 다 지킬 수 없다는 걸 알지만 1년동안의 계획을 짜는 것이 어느덧 새해 맞이의 한 습관이 되버렸다. 새해들어 듣는 첫 인사들은 한결같다. 건강하라는니 복 많이 받으라니느 등의 말은 오히려 인사치레이고 한살 더 먹었으니 빨랑 결혼해야지하는 말이 핵심이다.

도대체 매일 24시간 똑같은 하루인데 2003년 12월 31일과 2004년 1월 1일이 뭐가 다르다는 걸까? 그 날들 사이에 도무지 무슨 일이 있길래 난리법석이고 난 또 지겨운 결혼 성화로 새해를 시작해야 하는 걸까? 시간이라는 게 없다면 과거나 미래, 현재가 물론 없을 것이다. 어쩌면 그게 더 편할 것 같기도 하다. 일생을 몇 년으로 1년 12달로 하루 24시간으로 분으로 초로 삭막하게 낱낱이 해부할 필요도 없고, 한해 한해 나이 먹어감에 따른 부담감과 초라함에 맥빠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내가 처음으로 아장거리며 세상으로 발을 디뎠을 때, 내 눈가에 처음으로 주름이 생겼을 때, 그와 내가 이빨을 부딪치며 서투른 첫 키스를 하던 때.. 뭐 이런 식으로 일생을 기억했을 것이다. 이게 훨씬 나을 것 같은데..

하지만 시간이라는 개념이 생김으로 역사가 생겼다고 한다. 철학과 종교와 문학도 시간으로 인해 인간의 사고방식이 무한히 확대되었다고 하니 내 짧은 소견으로는 그러려니 하는 수밖에… 구정을 샌다면 1월의 스물두번째 날이 아닌 2004년도의 첫날이 될 것이다. 주어진 시간은 똑같은데 누구에게는 그날이 새해의 첫째날이 되고 또 어느 누구에게는 스무 날이 훨씬 지난 날이 되는 것이다. 만약 두 사람이 약속을 한다면 어떤 식의 날에 만나게 될까? 밀레니엄이 올때도 그랬다. 이십일세기의 첫해는 2000년이라는 논리와 2001년이라는 논리가 서로 분분하기도 했다. 서양에선 태어나고 1년이 지나서야 한살이 되지만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나이를 먹는다. 가끔은 그게 괜히 억울하기도 했었다.

이처럼 눈에 보이는 시간에 대한 서로의 개념차이외에도 왜 하필 1년을 12달로 나누었는지 하루를 24시간으로 했느지도 의문투성이다. 여러 민족, 여러 국가들의 수많은 사람들이 지금처럼 거의 한가지 통일된 시간으로 살수 있다는 것이 그 자체만으로도 의아하기도 하고 또 이런 체계가 언제 어떻게 갖춰질 수 있는지도 간혹 궁금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건 아주 가끔씩 순간적으로 궁금한 사항이였다. 그나마도 한창 궁금한 게 많았던 시절에 국한된 것이었고 딱히 시간에 대한 이야깃거리가 몽땅 나온 책을 애써 찾기도 힘이 들었던 시절이였다.

물론 이건 이 책이 나오기 전까지의 이야기이다. 이 책은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와 국립해양 박물관이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이하여 시간이라는 부분을 집대성해 놓은 제목 그래도 시간에 대한 박물관적인 서적이다.

시간의 과학사적인 분야 외에도 역사, 철학, 예술 및 문화 분야 등에 대해 세계적인 석학들이 이야기를 해 주고 우리가 미처 궁금해 하지도 못했던 사실들까지 세세하게 적혀있다. 인간이 시간을 어떤식으로 지각하며 오늘날과 같은 체계로 발전시켜 왔는지를 검토해주고, 각 나라와 문화별로 시간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측정했는지도 나와있다.

내용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의 방대한 사진자료등은 고대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달력과 해시계등과 살바도르 달리의 시계 그림 및 허블 망원경의 우주 사진등을 포함해서 마치 박물관을 직접 관람하고 있는 듯한 기분을 들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