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에어 납치사건
재스퍼 포드 지음, 송경아 옮김 / 북하우스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책 속의 인물들은 더 이상 종이 위의 잉크의 자취가 아니다. 그들은 이 세계에서의 우리와 마찬가지로 책이라는 세상에서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이다. 우리가 책을 읽지 않을 때는 그들은 나름대로의 삶을 살아간다. 마치 영화판의 엑스트라처럼 우리의 눈길이 가지 않을 때 그들은 빈둥거리거나 잡담을 하는 등 우리가 전혀 상상 할 수 없는 딴짓(?)을 한다.

책벌레들이 동경할 만한 직업인 특수작전망의 문학조사반.. 고전의 초판들을 훔치거나 위조해서 파는 불법상인들, 저작권 침해자들 사기꾼들을 다루는 직업이다. 그 시대는 문학을 광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고, 그럴 수 밖에 없는 분위기의 세계이다. 정말로 책벌레들이 좋아할 만한 세상 아닌가? 부러울 따름이다.

벌레들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책의 텍스트로 들어갈 수 있는 이상한 기계와 시간속을 마음대로 여행하며 범죄를 소탕하는 시간경비대.. 복잡하고 뒤죽박죽일 것 같은 상상의 세계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제인에어를 텍스트에서 납치하자 제인에어의 책에서 순식간에 제인에어는 사라지고 텍스트 사이로 들어간 주인공은 로체스터와 협동작전으로 뒤틀린 줄거리를 바로잡으려 한다.

이 얼마나 유쾌하고 기발한 상상인가? 단지 이런 발상 하나만으로도 이 책은 재미와 흥미가 만점일 수 밖에 없다. 감수성이 좀 더 예민했던 시절에는 책을 읽으면 정말로 책안에 내가 있는 듯 한 적이 많았다. 책 속의 인물들이 현실세계에서도 내 옆에 있는 듯 분명히 인식되었고, 내가 걷고 있는 거리와 풍경들이 책 속의 거리와 풍경이 되어서 현실과 책안의 세상사이의 경계가 흐릿해진 적도 종종 있었다.

솔직히 그럴때면 난 참 많이 혼란스러워했다. 너무 깊이 빠져버린 낭패감. 책 속에 깊이 빠지면 빠질수록 현실에서의 적응은 힘이 들었으니깐. 애써 빠지지 않으려 노력했고, 책속의 이야기는 그저 허구일 뿐이라며 한 때는 아예 책읽기를 멀리한 적도 있었다.
서른이 훌쩍 넘어버린 지금, 이제는 책을 읽으면 그저 책이려니 할 뿐이다. 물론 책읽기의 재미와 흥미가 없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하지만 아무리 독서 삼매경에 빠진다 하더라도 책 장을 덮는 순간 나는 바로 현실로 돌아온다. 몇 초간의 짧은 여운뒤에..
더 이상 책 속 세상과 이 세계의 경계에서 위태롭게 서 있지 않아도 되는 나는 다시 혼란스러웠던 그 때가 그립다. 그래서 이 책이 더 큰 충격으로 신선하게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 잃어버렸던 사춘기의 흥분을 다시 느끼게 해 준 고마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