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의 카프카 (상)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상실의 시대 이후 또 하나의 하루키 문학의 걸작이라고 선전되어지는 ‘해변의 카프카’
‘카프카’라는 단어에 까마기라는 의미가 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됐다. 그래서인지 이 책에서 계속 언급되는 해변의 카프카라는 그림 대신 난 고흐의 밀밭의 까마귀(제목이 맞는지 모르겠다..)가 자꾸 연상됐다.
그 신비하고 침울한 그림의 이미지가 책의 분위기를 한마디로 말해주는 것 같다.

여러명의 등장인물이 나오지만 주인공인 카프카 못지 않게 아니 어쩔 땐 그 보다 더 강한 개성으로 독자를 매혹시킨다. 각각의 인물들에겐 독특한 그만의 사연이 있고 하루키는 자상하게 그들의 속내를 독자에게 보여준다. 그들의 인연은 과거로부터 짜여지기 시작한 거미줄처럼 알게 모르게 서로 얽혀있어 필연적으로 현재 만날 수 밖에 없다. 세계는 개인의 삶으로 나누어진 것이 아니라 원하지 않아도 어쩔 수 없이 서로에게 영향을 받는다고 작가는 말하는 듯 하다. 그것이 이 세계이든 저 세계이든 말이다.

이야기는 원죄와도 같은 저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소년으로부터 시작된다.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와 누이와 관계를 갖게 될 거라는 저주를 받은 열다섯 소년은 도망치듯 가출을 한다.

어머니같은 여인과 사랑을 하고 남자도 여자도 아닌 그 또는 그녀와 우정을 나눈다. 세상에 속한 것 같지 않은 외진 도서관에서 유령과 실제의 두 현상으로 존재하는 한 여자를 사랑한다. 까마귀라 불리는 소년은 그의 일부이기도 하고 또는 그와 동등한 한 객체이기도 한다. 이 세상의 경계를 너머 저 세상에 머물기도 하지만 결국 그가 택한 곳은 이 세상이었다. 언제나 세상의 언저리에 머물며 뿌리 내리지 못했던 소년은 다시 눈을 뜬 세상에서 결국 세계의 일부가 된다.

열다섯살이라는 소년의 나이탓이였을까? 항상 경계에서 위태로운 방황으로 혼란스러워하는 그가 내게는 단지 사춘기의 방황정도로만 인식되었다. 하기사 작가가 굳이 열다섯 살을 택한 것은 그 나이가 희망과 절망 사이를 격렬하게 왕래하고, 세계의 현실성과 비현실성 사이를 방황하며, 신체는 도약과 질주 사이를 반복하는 그야말로 과도기인 때문이란 걸 보면 내 감상이 작가의 의도와 얼추 맞아 떨어지는 것 같기도 하지만…..

평범한 가출 청소년의 이미지가 절대 아닌 하루도 운동과 스트레칭을 빼먹지 않는 절도있는 생활패턴을 유지하는 건장하고 미래가 창창한 소년은 왠지 내겐 이미 가질 수 없는 꿈과 같은 존재이다.

오히려 내게는 어린 시절 우연챦은 사고로 그가 가진 모든 기억과 지식을 잃은 채, 그림자마저도 절반을 잃고 자기 안을 훤히 내 보일 만큼 비워두고 살아가는 나카타라는 노인에 더 애착이 갔다.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고 무시당하지만 고양이와 대화를 할 수 있는 노인은 그 누구도 미워하지 않고 하루 하루 만족해하며 살아간다. 바라지 않고 욕심내지 않아서 오히려 삶에 만족할 수 있었던 것일까?

그 자신의 순수함으로 소년 대신 사람을 죽이게 되고, 어딘지도 모를 세상으로의 입구를 열고 닫는 신비한 임무를 묵묵히 행하다 마침내는 평화롭게 혹은 허무하게 죽어가는 나카타.

글을 읽어보고 도서관에서 맘껏 책을 볼 수 있는 게 꿈이라던 나카타는 결국 이 세계에서는 그 꿈을 이루지 못한다.

제대로 사람답게 살아보지도 못하고 죽어버렸다는 동정을 하는 것은 어쩌면 내 자신의 욕심때문일 것이다.

세상 사람들 틈에 정겹게 끼이지도 못했지만 결코 욕심부리지 않고 만족한 삶을 살았던 나카타에게 난 부러움과 한편으론 알 수 없는 연민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