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순이 언니 - MBC 느낌표 선정도서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4년 9월
평점 :
절판


공지영의 소설에는 386세대의 향수가 자주 배어나온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작가 자신이 그 세대이고 또 그 시대엔 모든 것이 너무나 급작스럽고 혼란스러웠던 시기였기 때문에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많은 때문이다.

하지만, 그때 대다수의 사람들은 모든 것을 자유로이 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였다. 화려한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암울한 시기이기도 했다.

소설 속 나의 가족은 그 변화의 한 가운데에 있다. 달동네에서 주택으로 경제 성장의 상징인 아파트로 이사가면서 시대의 부흥을 직접 경험하며 중산층으로 진입한다. 그 가족의 일부이기도 또는 아니기도 한 식모살이하는 봉순이 언니는 중산층인 그들에겐 이젠 그만 잊고 싶은 과거와도 같은 존재이다. 어린시절 창경원에서 버려지고 남의 집 식모살이를 하며 첫사랑에게 속고 다음 남자, 또 그 다음 남자와도 행복하지 못한 삶을 지탱해야만 했던 봉순이 언니.

토스트와 우유로 아침을 대신하며 세련된 서구화된 식생활을 하는 식구들과는 달리 구석진 부엌에서 미련스레 누른밥으로 아침을 때우는 봉순이 언니는 서구문명에 쉽싸리 휩쓸리지 않는 민중들을 상징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그런 대단한 상징과는 전혀 상관없이 미련스럽고 우왁스러운 봉순이 언니의 삶은 그 자체만으로도 그 당시 많은 사람들의 실제 모습이라 할 수 있다. 과거보다 더 많은 땀을 흘리고 치열하게 살았던 많은 사람들이 소수의 선택받은 자들이 중산층이 되고 국가적 수준의 삶이 향상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우했다. 그 한가운데에 봉순이 언니의 인생이 있다.

소설 속 나는 엄마와 같은 정을 느끼던 봉순이 언니로부터 차츰 멀어지면서 이내 기억을 지워버린다. 그러다 결국 정신이 이상한 여인에게서 봉순이 언니를 느끼지만 끝내 눈길을 주지 않는다. 아니 눈길을 줄 수 없었는지도 모른다. 그 최악의 상황에서도 봉순이 언니의 눈빛은 희망을 말하고 있었으니깐…

징그럽게도 희망이었다. 더 이상 나아질게 없는 것 같은데, 더 이상 발버둥쳐도 남들처럼 버젓하게 잘 살아질것 같지 않은데도 정말 미련스럽게 희망을 놓지 않은 그녀의 눈빛…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그녀에 비하면 훨씬 나은 상황에 있으면서도 ‘희망’이란 단어에 막역한 거리감을 느끼는 나는, 정말이지 그녀를 이해할 수 없다. 삶에 대한 소름끼치도록 진저리나는 희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