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굽는 타자기 - 젊은 날 닥치는 대로 글쓰기
폴 오스터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폴 오스터를 좋아한다. 그의 작품들에선 삶에서 흔히 보는 우연들이 범상치 않은 인생의 사건으로 치닫기도 하고 깃털처럼 가벼운 농담같은 삶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가도 우연과 필연이 뒤섞인 심오한 인생철학을 늘어놓기도 한다. 그의 가벼우면서도 심각하고 진중한 이야기들을 좋아한다. 그리고 그처럼.. 아니 그보다는 못하겠지만 그냥 나만의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큰 호홉을 하고 흰 백지앞의 떨리는 마음으로 앉기도 하지만 늘 그렇듯이 생각은 그저 생각으로 끝나버린다. 작가가 되는 것은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되는 것이라고 폴 오스터는 말한다. 글쓰는 것 말고는 어떤 일도 자기한테 어울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평생동안 멀고도 험한 길을 걸어갈 각오를 해야만 작가가 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책을 읽다보면 역설적이게도 작가가 된다는 것은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젊은 날 닥치는 대로 글쓰기라는 부제대로 이 책은 폴 오스터의 젊은 날의 이야기이다. 그는 대개 보수가 더 많은 일거리들을 마다하고 수입은 작지만 시간이 많은 직업들을 선택했다. 오직 글을 쓸 수 있는 최소한의 경제적인 벌이와 최대한의 시간이 안락한 사회적 안정보다 더 중요했던 것이다. 이미 유명해져 버린 극소수의 작가들을 제외하곤, 아니 그들도 유명해지기 전까지는 그랬겠지만 대부분의 글쓰는 이들은 이중, 삼중의 직업을 가진다. 자신이 쓰고 싶은 글을 쓰는 것 만으로는 살아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

폴오스터의 말대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을 쓰고 싶다면 글을 써야 할 것이다. 그래서, 대다수의 어정쩡한 작가 지망생들은 작가가 되기를 선택하지 않는다. 경제적 안정과 풍요를 위해서 피말리는 글쓰기 대신에 가볍게 즐기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미 가시밭길을 택한 소수의 사람들의 작품들을 안락한 소파에 앉아 따스한 햇살을 받으며 느긋하게 즐기는 것이다. 그러한 편안함은 잠시나마 가슴 한켠에 뭉글뭉글 솟아오르는 글쓰기의 욕구를 누룰만큼은 충분하다. 그리고 그 후에도 늘 편안할 수 있다면 그들은 그 생활을 지속할 자격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아쉬움이 뒤통수를 잡고 놓아주지 않는다면…. 이제라도 시도해봐도 늦지는 않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