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눈뜨기가 무섭게 출근을 하고 풀리지 않는 일을 붙잡고 야근을 밥먹듯이 하고 일상에 지친몸으로 잠자리에 든다. 몇 번 뒤척이다 기억나지도 않는 꿈을 꾸다 보면 어느새 아침이고 다시 어제를 반복한다. 도대체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일상의 되풀이이지만 우리는 안다. 조금씩 조금씩 알아채지 못할만큼 이야기의 끝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이 책의 주인공 소년인 바스티안의 끝없는 이야기의 끝은 현실로 되돌아옴이다. 물론 그는 예전의 소심하고 용기없는 소년이 아니라 환상계의 용기와 당당함을 간직한 낙천적인 소년으로 바뀌었다. 바스티안은 "네 뜻대로 행하라"는 표지를 가지고 환상계에서 현실에선 상상할 수 없을 힘으로 자신이 원하는 바대로 세상을 바꾼다. 그의 끝이 없을 것 같은 환상계에서의 신비스럽고 이상야릇한 모험들이 이 책을 가득 채우고 있다. 스스로를 사랑하고 싶다는 마지막 의지를 행함으로 바스티안은 끝없는 이야기를 끝내고 현실계로 돌아오게 된다. 결국 현실과는 전혀 무관할 것 같은 온갖 말도 안되는 환상적인 이야기로 가득한 이 책의 메시지는 스스로를 사랑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하지만 현실에 발을 딛고 살면 살수록 나 자신을 사랑한다는 게 결코 말처럼 쉽지 않다는 것을 느낄때가 많다. 아니 그것 자체를 생각할 때도 드물지만. 그저 일상을 살아가는 것이다. 세상에 둘러쌓인 채 내 자신을 잊은 채 살아가는 것이다. 결코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이야기의 한 켠에서 주위를 둘러보며 끌려가며 때론 지루해하기도 하고 놀라기도 하고 간혹 유쾌해 하기도 하면서 말이다. 그것은 바스티안의 환상계도 마찬가지이다.다른 것이 있다면 그 쪽 세계에선 좀 더 달콤하고 흥미진진한 일들이 많다는 것이다. 현실의 바스티안과 환상계의 아트레유가 결국은 한 사람의 다른 이면인 것 처럼 환상계도 현실세계의 또 다른 면이다.중요한 것은 어느 쪽의 이야기 속에 있느냐가 아니라 그 안에서 얼마나 자기 자신 스스로를 들여다보며 사랑하는냐인 것이다. 나는 일상의 어려움에 치여 나를 잊고 산 적이 많다. 아니 차라리 나 자신을 사랑하지 않고 산 적이 더 많다는 것이 맞을 것이다. 나를 둘러싼 일상과 세상이 나의 것이 아니라 그들을 위한 것이였고 난 그저 그들 주변부에 머물러 있었다. 우울하고 지루한 나의 이야기가 빨랑 끝이 났음 늘 바랬지만 바스티안의 마지막 의지를 찾지 못함인지 끝이 날 것 같지 않았다.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나름대로 자기의 이야기를 갖고 있다. 어떤 이는 많은 부분 만족스러운 이야기이고 또 어떤이는 늘 슬픈 이야기이다. 지금까지의 내 이야기는 우울하고 지루했었다. 하지만 늘 그럴 순 없겠지만 의식적으로 나 자신을 사랑하려고 애쓰는만큼 조금은 유쾌하고 행복한 이야기로 바꿀 수는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