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지음, 강병남 외 옮김 / 동아시아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달 전인가 TV의 한 연예 오락 프로그램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한 사람과 모 연예인이 몇 단계 만에 서로 알 수 있는가를 추적한 적이 있었다. 놀랍게도 여섯번인지 일곱번 만에 두 사람은 서로 연관된 관계가 되었다. 그때만 해도 단지 기발한 아이디어를 소재로 했구나 싶었는데 그게 엄연히 과학의 한 방면으로 연구되고 있다는 것을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알지 못했었다.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연구되어 지고 있는 각종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일명 복잡성의 과학이라고 하는 이 생소한 용어조차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접하게 됐다.

할리웃의 영화배우들 간의 네트워크, 월드와이드웹, 과학자들 간의 공동저자 네트워크, 논문의 인용관계를 통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비롯하여 30억 년 전부터 생겨난 생명체의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수백만 구성원들이 서로 간의 이해관계를 통하여 만들어내는 거시적 척도 없는 네트워크라는 결과를 도출시켰다.

에르되스-레니의 무작위 네트워크에서는 대부분의 평등한 노드들이 같은 수의 링크를 갖고 있고 그것보다 크거나 작은 링크를 갖는 노드는 매우 희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무작위 네트워크는 노드의 연결 정도 측면에서 평균적 노드와 분포의 정점으로 구체화되는 고유한 척도를 갖고 있다.이러한 무작위 네트워크는 고속도로와 같은 일반적으로 덜 복잡한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이론이다.

대조적으로 척도 없는 네트워크는 정점이 없기 때문에 전체를 특징짓는 노드 같은 것은 없고, 희소한 노드에서부터 많은 작은 노드들에 이르기까지의 연속적인 위계가 있을 뿐이다.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한 특징은 특이하게 많은 수의 링크를 갖고 있는 노드인 허브와 모든 계층을 막론하고 친구나 아는 사람을 만드는 데에 있어서 극히 예외적인 솜씨를 가진 소수의 사람들과 같은 존재인 커넥터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에르되스-레니의 평등주의적 모델에서는 이러한 허브가 극히 희귀해야 하기 때문에 특정 노드가 평균적 노드에 비해 훨씬 많은 수의 링크를 갖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척도없는 네트워크 이론은 대부분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치열한 경쟁상황과 후발주자의 선두 진입 가능성을 설명하기위해서 각 노드들의 불평등성을 인정하며, 보즈-아인슈타인 응축과 같은 과학이론을 도입하여 컴퓨터 운영체제 시장에서 86%를 점유하고 있는 마이크로 소프트의 독식을 매끄럽게 설명해주고 있다.

기업 이윤의 80%는 종업원 중 20%로부터 나오며, 범죄의 80%는 범죄자 중 20%에 의해 저질러지며, 세계 경제의 부의 80%는 단지 20%의 사람들 차지라는 등의 80/20의 법칙과 부익부 빈익빈 현상까지 모두 설명해 주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 이론은 가히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는 말이 맞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원하는,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고 비슷하게 행복해 질 수 있는 사회 구조는 한낱 고속도로 지도와 같은 단순한 네트워에나 적합하다고 한다. 자연계의 좀더 복잡하고 지능적인 네트워크는 거의 모두 척도없는 네트워크 이론을 따른다. 극소수의 선택받은 이들이 경제적 부와 기회를 차지하는 불평등하고 모순된 사회구조가 결국은 신이 선택한 세계의 모습이였다고 20세기의 문명화된 과학자들은 주눅들만큼 완벽한 이론으로 주장한다. 복잡성의 과학은 불특정 다수의 평등한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노력을 자연과 신의 섭리에 반항하는 부질없는 짓이라며 비웃을 과학적 근거를 마련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