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억 속의 현대사
이종언 지음 / 지식과감성# / 2025년 4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 입니다>
<기억 속의 현대사>는 1960년대 이후 대한민국의 현대사를 다각도로 조명하는 작품으로, 저자의 개인적 경험과 역사적 사실을 결합하여 생동감 있게 서술하고 있다. 이 책은 역사서라고 하기보다, 저자의 삶과 함께한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독자에게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수필형식의 저작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1960년에 대구에서 태어나 역사학을 전공한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역사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은 책 전반에 걸쳐 드러나며, 저자는 자신의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사를 풀어내고 있다.
이 책은 정치, 외교 안보, 경제 산업과 무역, 교육, 문화, 농업, 사회 간접자본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현대사를 다루며, 각 사건이 어떻게 생성되고 이어져 왔는지 연결고리를 탐구한다. 특히, 저자는 역사적 사건들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독자에게 역사적 사실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의미를 되새기도록 유도한다.
이 책은 현대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각을 제공한다. 저자는 역사적 사건들을 과거의 일로 치부하지 않고, 현재와 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서술한다. 이는 독자로 하여금 역사적 사건들이 단순한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현재의 사회와 문화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깨닫게 한다. 예를 들어, 1960년대의 민주화 운동이나 1980년대의 정치적 격변은 오늘날의 한국 사회에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사건들을 통해 독자에게 역사적 연속성을 강조하며, 우리가 현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를 돌아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저자는 개인의 기억과 역사적 사실을 연결짓는 방식으로 독자에게 감정적으로 다가간다. 역사적 사건들이 저자의 개인적 경험과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보여주며, 독자는 저자의 시선을 통해 역사적 사건들을 보다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독자가 역사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고, 더 나아가 자신의 삶과 역사적 사건들을 연결짓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역사란 단순히 과거의 사건들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다. 저자는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우리가 현재 어떤 사회에 살고 있는지를 되짚어보게 하며, 그 속에서 우리가 어떤 판단과 선택을 할 것인지 고민하게 만든다. 또한, 개인의 기억이 역사적 사실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독자에게 역사에 대한 새로운 올바른 시각을 갖추어야 함을 강조한다. .
결론적으로, 이종언의 『기억 속의 현대사』는 단순한 역사서가 아닌, 개인의 경험과 역사적 사실이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탐구하는 작품이다. 저자는 독자에게 역사적 사건들이 현재와 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되새기게 하며, 역사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강조한다. 이 책은 현대사를 극단의 보수나 진보입장에서 판단하기 보다는 보다 중도와 객관적 입장에서의 이해를 원하는 모든 이들에게 추천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