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인들
이세희 지음 / 지식과감성#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 입니다>


주인공 이성재는 실패와 좌절 따위는 없는 삶, 매일이 행복하고 나날이 발전시키는, 그토록 완벽한 삶을 살고자 노력한 사람이며 마침내 자수성가를 이루어 막대한 부와 명예를 이루어 냈다. 그런데 어느날 그를 진료하던 주치의로부터 암이라는 폭탄선언을 듣고 자신이 이룬 모든 것들을 완벽하게 정리하므로써 지신이 사라진다 해도 남아있는 유족들이 자신이 이룬 모든것들을 지속 존속시키고 발전시키도록 계획하고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소설에 담았다.

마침내 이성재 본인의 죽음에 맞춰 한점의 흐트러짐도없이 완벽한 상속을 이룬다는 이상주의적인 결말이 만들어진다.


해피엔딩이라는 다소 흔한 전개는 중간중간 드러나는 피상속인들의 본성과 욕망속에 갈등과 위기를 겪기도 하지만 너무 쉽게 해소되어 다소 맥빠지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한다. 저자는 이성재의 가족의 안전과 행복을 위한 이성재 개인의 완벽성을 부각 시키려 했겠지만 현실감이 떨어져 긴장과 몰입을 약화시키는 악재로 작용한점이 있다. 아무리 위대한 업적이라도 한사람의 수완이나 자질로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최대한 갈등을 크게, 길게 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아쉬움을 남게하는 부분이다. 특히 차남인 이석진의 탁월한 능력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이나 조력자에 대한 확대보완이 아쉽다.


어찌됐든 저자가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소설의 말미에 갈등을 계속하던 맏이 이상진과 차남 이석진이 서로간의 편견을 터놓고 플어가는 대화속에 나타난다.

"사람이나 상황을 보면서 판단하는 게 아냐. 사랑에도 방식이 달라. 그런데 형의 태도는 사랑이든 뭐든 너무 일방적이야."

"형은 항상 자기 생각이 옳고, 그것을 일반화 하려고 해."

"형 혹시 그사람한테 좋아하는 게 뭔지 물어본 적 있어? 아니면 그 사람이 원하는 공간에서 서로 감정을 교류한 적은 있고?"

처음에는 대화가 잘 통한다고 생각 했는데 어떤 부분에 대해서 잘 통했는지도 전혀 기억나지 않았다.

결국 이소설의 갈등의 핵심인 맏이 이상진과 들째 이석진의 갈등이다. 다소 직설적이고 충동형인 맏이에 비해 속이 깊고 냉철하며 깊이 분석한후에 행동하는 들째 이석진과의 싸움은 이미 결론은 났지만 과정이 다소 애매한면이 있는 점이다.


이석진이 막내 이재진에게 과거로부터의 속박을 벗어나라고 전달하는 메시지는 이 소설의 전체를 간통하는 저자의 의도가 깊이 새겨져 있다. 저자는 둘째 이석진을 자신의 화자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남을 돕고자 하는 마음이, 그러나까 그런 윤리적인 행동이 사실 나 자신만을 위한 감정은 아닌지, 가령 우리는 사랑을 표현한다고 말하지만, 실상 우리는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타인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곤 해.

이건 결코 남을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나를 위해서지. 그런데 그 감정은 가끔 다른 사람을 곤란하게 만들어. 특히 그 감정이 일방적일 때, 우리는 난처해질 수 밖에 없어. 내 몸과 마음을 도려내어 타인에게 보여주고 싶은 때가 있지만 결국은 그건 자시만의 감정이야."


이세희 작가는 소설속 상속인인 이성재와 피상속자인 그 유족들의 특성이나 자질을 완전히 다르게 표현하므로서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표현하려 하였다. 그리고 이들 다양성을 가진 각 개인들이 받아들여야 할 상속재산이나 역할에도 다 다름이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사회 통념이나 일반 상식으로 일반화 되는 것이 위험함을 알리고 있는 것이다. 이책의 독자들이 세상을 이해 하려면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원 개개인의 특성을 잘 관찰하고 서로 다름을 파악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함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서로 다른 존재들이 어우러지면서 공동체라는 커다란 사회를 꾸려감에 필수인 것이 서로간의 이해와 사랑이라는 인간의 기본 가치라고 말하고 있다.


#상속인들 #이세희 #지식과감성 #자수성가 #가족사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