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2 조선 천재 3부작 3
한승원 지음 / 열림원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 입니다>


한승원의 『다산 2』는 조선시대의 위대한 실학자 정약용의 삶을 다룬 역사소설로, 그의 18년간의 강진 유배생활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황사영, 홍필주의 천주학 박해 도피생활은 긴장과 불안의 연속이었다. 그러다 결국 그들이 체포되고 때마침 가뜩이나 정약용 일가에 뒤집어 씌울 죄목을 찾던 노론측에서 유배중인 그들을 제거하고자 압송하게되고 문초를 시작한다.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 자신이 무죄임을 논리적이고 명확하게 답변하여 풀려나지만 유배중인 터라 유배지가 충주가 아닌 강진으로 변경되어 유배생활은 계속 된다.


강진에서의 유배생활 중에도 중앙정부의 대신들은 정약용의 제거를 위한 공작을 멈추지 않았으며 이는 강진현지인들이 정약용을 외톨이로 만듦으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다가 마침내 정부나 제도를 비판하도록 만들기 위한 덫이었음을 잘알고 있던 그는 모든 생각과 말과 행실을 예에 가두는 철저한 절제의 생을 살기로 결심한다. 주막집 주인의 호의로 주막집 한켠에 생활을 시작한 궁핍한 생활조차도 감시를 받는 삶이었기 언감생심 에에 벗어나는 언행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다가 보은산 암자로 거처를 옮겨 소흑산도를 바랍1ㅗ며 형님을 그리워하는삶을 살고 시를 짓는데 매진하게 된다.


만덕사 주지인 혜장과의 만남은 다산이 자신의 학문을 견고히 확립하는 계기가 된다. 유배 생활 동안 주자학과 천주학, 도학, 불교 등 다양한 사상을 접하며 극단적인 이분법을 넘어서는 사고를 발전시킨다. 그는 자신의 사상을 통해 인간 존재의 의미와 사회의 본질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는 단순히 학문적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인간으로서의 삶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이 책은 그러한 다산의 내면적 갈등과 성장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에게 맡겨진'사업'을 실천하기로 결심한다.


혜장스님이 다산이라는 거대한 산속에서 길을 잃고 정체성마져 혼란을 겪은 부족한 불자라면 초의는 학문의 깊이나 범우가 가히 다산괴 견주어 능히 조망과 탐구가 가능할 정도였다. 그리하여 초의의 정신이나 사고방신은 다산에게 새로운 안목을 갖게 해주고 다산의 박학다식은 초의의 학문영역의 지평을 확장시키게 하는 서로에게 큰 도움이 되어주는 관계가 되었다. 다산은 자신이 가르치는 일에만 몰두한것이 아니라 끊임 없이 연구와 학습을 계속했던 것이다.

혜장의 죽음과 소흑산도 유배중이던 정약전 형님의 부음 이후 다산은 모든 에너지를 오롯이 집필에 쏟아붓게 된다. 18년이라는 유배기간동안 500권의 책을 집필하는 초인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다산이 자신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지혜와 인내였다. 그는 유배라는 극한의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사상을 잃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더욱 깊이 있게 발전시켰다. 이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큰 교훈이 된다.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우리는 종종 좌절하고 포기하기 쉽지만, 다산은 그러한 상황에서도 끊임없이 고민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의 이야기는 우리에게도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지혜를 가르쳐준다.

또한, 이 책은 다산의 사상이 단순히 개인의 철학에 그치지 않고, 사회와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로 확장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그는 자신의 사상을 통해 사회의 부조리를 비판하고,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지속했다. 이러한 점에서 다산은 단순한 학자가 아니라, 시대를 초월한 사상가로서의 면모를 지닌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다산 2 #열림원 #한승원 #혜장 #초의 #황상 #강진유배 #거문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