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왕조실록 3 : 세종·문종·단종 - 백성을 사랑한 사대부의 임금 ㅣ 조선왕조실록 3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세종은 성군이다.
지금까지 배웠던 대목이고 우리가 알던 내용이다. 물론 틀린말은 아니다.
그러나, 세종은 자신의 지지세력인 사대부들과의 타협을 통해 수령금지고소법을 제정했다.
한마디로 지방수령의 비위와 특히 재산상의 수탈등을 고소할수 없는 악법을 제정하여 많은 평민들을 시름에 빠지게 만들었다.
오죽하면 그당시 조선백성들이 고려를 그리워하며 세종을 미워하고 그에 불만을 품고 크고작은 소동일종의 민란을 야기시켜 마침내 이법을 제정한지12년만에 개정을 하는 처지에 이르렀다.
이사실은 일반적인 조선왕조실록 세종편에는 거의 다루지 않는 내용이다.
그리고 종부법을 종모법으로 변환시킨것도 세종때의 일이다.
사대부의 재산과도 같은 노비를 면천시키는것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법이다.
사대부의 배를 불리우고 양인의 수를 감소시켜 조선이라는 나라를 허약하게 만드는 주원인이 되기도 하는 법이다.
이두가지 사실을 볼때 세종대왕은 일반백성의 애민군주이지만 한편으로 사대부의 이익을 철저히 대변하는 임금이기도 하다는 내용이다.
문종편에는 문종이 문부를 두루 겸비한 준비된 임금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이점역시 일반적인 조선왕조실록에는 거의 언급하지 않는 부분이다.
마지막 단종편에는 단종이 어린나이에 즉위했지만,현명한 군주의 자질이있는 왕의 면모를 보여주는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이역시 일반적인 조선왕조실록에는 자세히 다루지 않는 이야기이다.
이런점들은 우리가 왜 이책을 읽어야만 하는 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다음편이 기대되고 기라려지는 대목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