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오디세이 1 미학 오디세이 20주년 기념판 3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가을, 듣기에도 풍성한 이 말을 안고 밖으로 나가보자. 어떤가? 보기만해도 젖어들것 같은 푸른 하늘을 보는 감상은? 어느 시인이 말했던 것처럼 긴 여름을 보내고 피어난 국화꽃의 빛깔은? 나는, 그 앞에서 '아름답구나'라는 탄성을 터트린다. 하지만,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너는 아름다움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데?'라고 묻는 다면 나는 얼버무릴 것이다.

그냥, 보기 좋은게 아닐까? 균형이 맞고 조화로운 상태를 일컫는 말일까? 호감이 가는 두드러진 모습이 맞지 않을까? ... 이렇게 사전적인 정의를 찾고 나서도, 나는 이 정의에 어긋나는 다른 어떤 것 앞에서도 아름답다는 말을 할 수 있다.

왜? ... 왜, 아름다움을 보는 나의 기준은 이렇게 어지러울까?

그것에 대한 대답과 이제까지의 철학적 논의들이 이 책에 담겨있다. 미학 오디세이라는 제목으로 고대부터 거슬러내려오며 '美'에 대한 당시의 사람들의 시선을 쫓아가는 작가의 방식은 논리적이며, 뚜렷한 중심을 잡아내고 있기 때문에 '철학'에 대해 무지한 나같은 보통 사람들도 주저 없이 이 책을 펼쳐도 좋다.

미와 예술, 이 결속력 강한 두 가지의 연결고리를 찾아내며 '아름다움'에 대한 사람들의 집요한 탐구를 보여주는 이 책은 우선은, 무척 흥미롭다! 그 예를 일일이 찾는 것은 이 책을 읽게 될 당신의 몫이기 때문에 넘어간다. 아~라고 고개를 끄덕이면서, 알 수 없는 그 그림을 이해하게하는 기회를 즐기는 것도.. 또는 당시의 사람들의 생각에 '좀 어리석지 않나'라는 후대인 특유의 비판을 보태보는 것도 당신의 몫이다. 그럼, 넌 뭘 쓰고 싶은거냐고 묻는 다면, 그것은 ...

사람들이 '아름다운' 것에 대해서 집착하는 것은 왜 일까를 생각해보는 기회를 얻었다는 것이다. 1년 동안 학교에서 '미학'에 대한 강의를 들으면서 접했던 얘기들을 간단하게(아주 간단하게) 이야기해보자면, 이 것이다. '현실에 존재하지않는 이상적인 모습을 구현하는 것이 아름다움이냐, 이미 이상적인 모습을 하고 있는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름다움이냐' '예술품에 미를 담아낼 수 있느냐, 없느냐' '아름다움에 대한 정의를 찾을 수 있느냐, 없느냐. 있다면, 모두가 아름답다고 할 때, 왜 아니라고 하는 사람이 생겨나는 것이냐' 등등의 문제들이다. 이런 문제들이 우습게 보일지 몰라도, 이런 생각들이 '시학'이나 건축술, 우리가 탄성을 터트리는 '모나리자' 그림을 만들어 냈던 물음의 시작이라고 생각을 한다면 나름대로 미학에 빠지는 것도 나쁘지 않을거라고 생각한다.

어찌됐든, 나는 '아름다움에 대한 집착'은 결국 무엇일까를 이 책을 읽고 곰곰이 생각한다. 친구와 그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아름다움은 결국 본능이다" 라는 데는 합의한 우리들. 하지만, 본인은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은 결국 학습일뿐이다. 그것이 어떤 것에서 오는 학습이든간에' 하지만, 친구는 '아름다움에 끌리는 것이 본능이든, 아름다움을 인식하는 것도 결국은 본능이다'라는 견해를 내세웠다. 글쎄, 끝은 어떻게 났는지 알 수 없다. 생각해보라, 몇 백년을 연구해 온 많은 철학자들도 한데 모으지 못한 그 견해를 고작 20살을 넘어선 어린 여자둘이 어떻게 결과를 낼 것인가?

몇 가지의 굵직한 줄기들이 인류가 지탱해온 '미'에 대한 강박관념들을 설명해 줄 수는 없지만, 적어도 나처럼 다른 질문들을 찾아가게 하는 안내서가 되게는 도와 줄 것이다. 그리고, 무척 친절하게 가르쳐 주고 있다. 깊게 파고 들지 않아서 일지 몰라도, 나에게 이정도의 이야기들은 꽤나 많은 도움을 줬으니까. 그리고 미술작품에 대한 애정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 작품을 보는 눈을 키우는 기회가 되주기도 하고 말이다.

철학은 딱딱하다는 생각을 버린다면, 아름다움은 하나라는 편견을 버린다면, 이 책이 보여주는 아름다움의 철학의 길은 꽤나 기분좋은 시간을 준다는 것은 약속하고 싶다. 참, 뒤죽박죽 엉켜져버린 나의 리뷰가 이 책을 즐기려는 누군가에게 방해가 되지 않기만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