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서 온 소년 1
나예리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이 사람 작품이라면 믿을 수 있어. 재미있을 거야. 기대돼.

이런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작가가 있다. 이 작가가 그렇다.

나예리라는(하니에서 나오는 그 나예리가 아니다..) 작가의 이름은 나에게는 '안정감'으로 다가온다. 무엇을 그려서 내놓던지 분명히 재미있을거라는 확신은 부담없이 책을 고르게 만든다.

달에서 온 소년. 예쁜 제목과 어딘가 신비감이 묻어나는 책 표지를 넘기고 나면 작가 특유의 부드럽고 뚜렷한 펜 선으로 그려진 멋진 인물들이 생동감을 가지고 움직인다. 일부로 '그 사람은 멋지다' '꽃미남' 이라는 표식을 달지 않아도, 오~ 멋진걸. 이라는 말이 뚝뚝 내뱉어지는 멋진 사람을 그려낼 줄 아는 작가의 그림은 질리지 않는 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이 작품은 '사람과 사람'의 관계 문제를 파고든다. 아, 물론 철학책은 아니다. 무척 재미있다. 밝혔다 시피. 가족안에서의 관계, 좋아하는 사람, 좋아질 것 같은 사람, 좋아했던 사람, 그런 사람들틈에서 우리는 어쩔 수 없이 혼자라고 느껴야 하는 외로움을 달래며 의지한다.

안나라는 이제 막 재수생의 쓴 출발선을 밟아야 하는 어린 소녀는 그 외로움의 끈을 놓기 위해 필사적으로 '아버지'로 대변되는 누군가를 찾아 나선다. 가끔은 독기를 품은 여린 아이의 그 마음은 많은 사람들 속에서도 순간 허망해지는 내 모습과도 닮아있다. '그리움'을 찾아 나선다는 것. 그건, 누구에게나 절실한 일인 것이다.

그리고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아론' 참, 간만에 보는 '섹시한' 인물이로세. 라는 것이 나의 첫 느낌. 무언가 확실히 잡히는 것이 없는 그 매끈한 얼굴 뒤에는 여자의 직감으로 느껴지는 슬픔이 자리한다. 그런점이 또 보호본능을 자극 하는 법이지만. 더 이야기가 진행되야 알 수 있겠지만, 아론이 숱한 많은 사람들에게 향하는 일괄적인 애정의 곡선과는 다른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감정은 안나에게 향해있다.

안나와 아론을 둘러싼, 다른 인물들(이름을 알 수 없는 소년, 아론에겐 적의를 안나에겐 호의를 주는 민우란 인물, 안나를 3년동안 죽어라 쫓아다니다 아론에게 화살을 돌린 찬섭군..)과의 이야기도 무리없이 잘 진행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 둘의 이야기에 새삼 가슴이 뛴다. 누구에게나 올려다 보고 마는 '달'이 하나쯤은 있기 마련이다. 보이지만 잡히지 않아서 더 애타는 그런 존재가 있는 법이다. 이 이야기는 이런 그리움을 어떻게 그려 낼까?

기대감이랄까.. 어떻게든 되겠지만, 어떻게 될 지 궁금한. 모처럼만의 감정이입이 진하게 일어나는 이 인물들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볼 셈이다 - 이 작품이 연재되던 오후라는 격월간지가 폐간됐기 때문이다. 정말, 화가 난다. 만화라는 콘텐츠를 좀 살리잔 말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