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스 브레이커 1
강소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01년 5월
평점 :
품절


내가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한 만화가가 좋아한다고 해서 무작정 읽은 책이다. 하루에도 몇 권씩 쏟아져나오는 판타지 소설이란 것을 나오는 족족 다 읽을 수는 없기 때문에, 혹여 이렇게 누군가 권해주기라도 하면 나는 기뻐하며 읽는다. 권해주는 책은 '위험성'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그것도, 내가 신뢰하는 누군가라면 더욱더 그럴테고 말이다.

처음 이 책을 읽을 땐, '쿠간'이란 도시와 경찰, 마피아, 연쇄 살인범등 너무 현실적인 이야기들이 적혀있어서 잠시 의아했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밀고 당기면서 서서히 좁혀들어가는 이야기들은 알 수 없는 세계에 대한 궁금증을 만들어 냈다. 그렇지 않다 해도 추리소설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풀어내는 솜씨가 여간하지 않다.

잘 나가는, 혹은 잘 팔리는 판타지 소설들의 경향을 보면 '농담과 깊이'다. 책을 읽는 내내 시시콜콜한 독설을 끊임없이, 그리고 그 안에서도 진지한 끌어당김과 성찰이 필요하다고나 할까? 의도했듯, 안 했듯 이 책의 농담은 비슷하게 이어지지만 지루하지 않고, 뻔한 듯 하지만 재미있다. 캐릭터들이 무척 귀엽다고 해야 할까? 어느 위치에 있듯 이 책에서 소개되어 지는 캐릭터들은 자기만의 확고한 색을 가지고 있다. 실수도 있고, 욕심도 있고, 때론 바보 같을 지라도 그 모든것이 용서될 만큼 독특함을 뽐내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마음에 드는 것은 '여유'다. 당장 죽임에 쫓기더라도 어떤 피치못할 사정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을 만나더라도, 여기 이 곳의 인물들은 여유롭게 대처한다. 이 여유야 말로, 판타지 다운 요소라고 나는 생각한다.

빡빡한 삶을 원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현실의 메마른 삶, 혹은 반복되는 지친 일상속에서 이런 여유로움이야 말로, '다른 세상'이다. 그래서 한 순간에 이 매력에 휘어잡혀 많은 사람들이 주류라고 인정해주지 않는, 그리고 그만큼 별 볼일 없는 작품들이 판을 치는 판타지 소설을 버리지 못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어찌됐든, 근사한 경험이긴 하다. 이 책에 나오는 인물들을 쫓아 연쇄살인범을 추적해보는 것이나 마피아라는 공공의 적을 동경해보는 것도.

그런데, 나는 무언가 허전하다. 어쩌면 나와는 맞지 않은 성향(이건 안 읽은 분들을 위해 제한해야겠다^^)이 있어서 일지도 모르고, 어쩐지 이젠 지루해져서 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처음 1권을 읽을 때 나오지 않던 완결까지 걱정하던 마음이 이젠 아무렇지도 않아져 버렸다.

그게 많이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3권까지 읽는 동안 나는 꽤나 즐거웠다. 알지도 못하는 작가를 감싸려는 것도 아니고 팬들의 질책이 두려워서가 아니라, 재미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읽는 시간의 몇 십배의 고민이 엿보이는 글인 것 같기도 하다. 그러니, 내 글에 구애받지 않고 읽어보는 것도 나는 나쁘지 않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