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싱커 (양장) - 제3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배미주 지음 / 창비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환경오염으로 싱커 속사람들은 지금과 전혀 다른 환경 속에서 살아간다.
밤낮이 자동으로 조절되고 온도 역시 마찬가지다. 자연은 바이러스를 옮긴다는 이유로 불필요한 존재로 전략해버린 세상…
싱커의 배경인 시안이란 거대 과학도시엔 사람 말고 어떠한 생명체도 존재할 수 없다.
시안의 아이들은 동물과 식물들을 책 속에서만 보고 배운다. 엄청난 과학발전으로
200살은 거뜬히 살수 있는 시안 사람들이지만 과학이 아무리 발달을 해도 빈부격차만은 해결 할 수 없는 문제인지…
시안에서도 역시 보이지 않는 계급의 벽은 존재한다. 돈이 많은 사람들은 아이도 훌륭한 유전자 조합으로 낳고
늙지 않는 세포치료로 아프지도 않는다. 모두가 평등한 세상은 역시 꿈일 뿐인가…
인간의 이기심으로 자연과 심지어 인간의 생명까지 얼마나 하찮게 이용될 수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꼭 책에서만 아니라 지금 우리나라에서도 수많은 사람들이 죽고 죽임을 당한다. 생명이 너무나 가벼워졌다.
이 책을 읽으면서 시안을 지배하는 바이오옥토퍼스의 횡포가 어쩌면 아주 얼토당토 않는 얘기일까?
먼 미래에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사람의 목숨쯤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듯이 여기는 사람들은 생기지 않을 거라고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지금 이대로 살아간다면…난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청소년 과학소설이란 장르는 처음 읽어보았다.
미래도시 시안의 모습이나 주인공 아이들 미마와 부건이 학교 수업을 삼차원 입체영상으로 받는 장면,
싱커라는 게임에 싱크 하여 동식물의 의식 속으로 들어가 생전 처음 접하는 숲, 자연 속에서 놀이를 즐기는 장면 등을 보면서
작가의 상상력에 대단히 놀랐다. 어떻게 동물의 의식에 접속을 하는 게임이란 걸 상상해낼 수 있는지 신기하다.
주인공인 미마와 부건은 바이오옥토퍼스의 충격적인 비밀을 알게 되고 엄청난 전쟁이 시작 된다…
모든 생명은 존중 받아야 하고 인간을 자연을 벗어나선 살 수가 없다.
이렇게 간단한 진리를 깨닫기 까지 너무나 많은 희생을 치른 시안 사람들…
그래도 여전히 희망은 존재한다. 아이들이 있고 사랑이 있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