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할머니와 산다 - 제3회 세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최민경 지음 / 현문미디어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딱 16세 철없고 엉뚱한 소녀의 눈높이로 이야기 하고 있는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중학생이 쓴 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만큼 사춘기 소녀의 생각들이 아주 잘 포착되어있다.
입양아라는 상처를 갖고 있는 은재는 다른 아이들 보다 훨씬 더 혹독한 성장통을 앓기 시작한다.
마음과는 달리 부모님에게 상처 주는 말을 쏟아내고
입양아라는 사실이 알려져 친구들의 뒷담화에 상처를 받기도 한다.
다시 한번 아이들의 잔인함에 놀랐다.
친구의 비밀을 이용하는 잔인함… 편부, 편모 가정, 국제결혼 가정, 재혼 가정, 입양 가정 등 우리나라도 점점 다양한 형태의 가정이 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가정은 이래야 ‘정상’ 이다. 라는 편견에서 어른도 아이들도 자유롭지 못하다.
초혼인 남녀가 결혼해 아이를 낳아서 이뤄진 가정이 우리 머릿속에 박혀있는 ‘정상’ 적인 가정의 형태이다.
이런 조건에 하나라도 모자라는 가정의 아이는 그 사실이 알려지는 순간 이름을 잃은 경우가 많다.
지금도 내 주변에 이렇게 불리는 사람들이 있다.
“새엄마랑 산다는 애” “아빠가 장애인인 집 애” …
주인공 은재는 입양아다. 다른 입양아들이 비해 6살에 입양된 은재는 더욱 깊은 상처를 안고 있다.  


입양아라는 사실이 알려진 순간 은재도 이름을 잃어 버렸겠지…
철없는 아이들이 생각 없이 내뱉는 말이 더 무서울 때가 있다.

입양아라는, 그 상처를 마주보기 두려워 외면한 채 살아왔지만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제 성장 할 시간이, 그 상처를 바라 볼 용기가 생긴 것 이다.
은재가 꾹꾹 참아왔던 눈물을 한꺼번에 터트리며 울 때 이상하게 나도 같이 울어버렸다.
그 상처가 안쓰러워, 똑같진 않지만 사춘기 시절 심하게 앓았던 나의 성장통이 떠올라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나버렸다.
그래도 은재는 엄마에게 고맙다는 고백을 할 줄 아는 용기 있는 소녀다.

한을 품고 돌아가신 할머니의 영혼을 달래주기 위해
할머니의 비밀을 풀어가는 과정을 통해서도 은재는 많은 것을 느끼고 자라게 된다.
가족이란 핏줄로 연결된 사람들이란 뜻이 아니다.
서로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가족인 것이다.
입양한 손주들 이지만 사랑으로 가슴으로 품어준 할머니와 부모님…
누가 뭐래도 이들은 진정한 “가족”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