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북 - 젊은 독서가의 초상
마이클 더다 지음, 이종인 옮김 / 을유문화사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머리말에서 작가는 어린 시절에 대한 회고록을 쓰다 자신의 어린 시절 성격을 떠올려 보니
“깊은 우울과 유머러스한 자기 비하적 장난기를 오가는 편이었다.” 9p
중년의 나이에 들어선 작가는 자신의 이런 성격 형성에 대해 원인을 분석하기 시작했고
결국 독서가 큰 작용을 했을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 오픈 북은 작가의 유년시절 약 4살 정도부터 시작해
대학 시절 3학년까지의 독서, 성장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5~60년대 사우스 로레인이란 도시의 제철공장 노동자 집안의 아들로 태어나
부모님을 통해 책의 세계에 점점 매력을 느끼게 되면서
가난한 살림에 중고서적들을 찾아다니면서 우연히 만난 책들을 통해
책을 끼고 사는 우등생으로 성장하기 시작한다,
그가 읽은 책들을 보면 정말 유명한 고전들부터 생소한 만화, 소설책까지 다양하다.
어린 시절 독서가 사람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
그는 오하이오의 명문대인 오벌린에 장학생으로 진학하지만
명문사립고 출신의 돈 많고 똑똑하고 운동, 음악 등에서 까지 두각을 나타내는
부잣집 도련님들 사이에서 방황을 하기도 한다.
나름 노력을 하지만 성적은 바닥을 기고 적성에 맞는 전공을 찾지도 못하고
힘든 시기를 보내는 마이클 더다의 모습은 나에게 참 솔직하고 멋지게 보였다.
퓰리쳐 상까지 받은 사람이라면 분명 어린 시절 부터 천재소리를 들으면서
누구에게도 지지 않고 살았으리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어느 날 학교로 찾아온 아버지 앞에서 눈물을 흘리며 과연 내가 이곳에서
잘 해낼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고민을 털어놓고
자상함이라곤 찾아보기 힘든 아버지는 너의 고충을 충분히 이해한다며  

하지만 이 대학에서 너에게 장학금은 줬다는 것은 분명 다른 학생들만큼 네가 훌륭하기 때문이라고
모든 게 다 잘 될 것이라고 아들을 응원하고 아버지의 응원 덕분인지
그는 "공부 벌래가 되기로 결심한 것이다."326p
마이클 더다는 어릴 때부터 다독으로 쌓인 내공으로 문장을 한 덩어리로 읽을 수 있고
한 페이지를 한 번에 슥 하고 읽을 수도 있는 능력으로 성적을 점점 향상시켜갔다.
결국 그는 노력의 댓가로 졸업생 최우등상을 받는다.
마이클 더다의 ‘고전읽기의 즐거움’에서 빠진 유명한 작가들..
프루스트나 엘리엇의 작품들을 접할 수 있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