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나 이야기 - 내 인생을 바꾼
김보승 지음 / 토네이도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마그나 이야기
김보승 지음/토네이도
자기 인생에 대해 누구나 고민을 하게 된다.
'나는 뭘까?' '나는 지금 잘 살고 있는가?' '나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에 대한 근원적인 고민부터 시작해서 '나는 지금 내 일을 잘하고 있는 것일까?' '회사에서의 내 목표는?' 까지 지금 당장 현실에 맞물려 있는 고민까지 말이다.

그러면서 동시에 우리는 근원적인 고민을 두려워한다. 왜냐하면, 골치아프기 때문이다. 근원적인 고민을 한다는 것은 그 동안 내가 살아왔던 것을 부정해야 할 수도 있기에 너무도 힘든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지금 사는 것도 힘들어.' '1년은 고사하고 지금 당장 내일을 바라보는 것도 힘들어 죽겠는데 무슨...' 혹은 '나는 지금 잘 살고 있는데.. 뭐.. 아무 문제 없어' 와 같은 자기 합리화를 하는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렇게 생각하면서 계속 힘들어 한다는 것이다. 가끔은 국가, 경제에 대해 문제의 모든 원인을 찾기도 하면서 말이다.(국가, 경제 등의 문제를 무시하자는 것은 아니다.. 단지, 가끔은 그 쪽으로 모든 문제의 원인을 전가하지도 않느냐 라는 말을 하고 싶은 것이다.)

하지만 모두 알고 있다. 위의 고민은 '스스로의 한계 - 지금 당장 편해지고 싶으면서 결국은 편해지지 못하는 상태-'에 봉착해 있다느 것을 본능적이든 이성적이든 자기 자신은 알고 있다.

[마그나 이야기]
[달란트 이야기]를 읽으면서 누구나 '근원적인 고민'을 해야한다는 것은 아니다.

사실 나도 내가 근원적인 고민을 하고 있다고 확신을 하지 못하겠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내 인생을 살아가는, 내가 스스로 책임져야 할 나의 인생을 바라보는 관점이 조금(아주 조금, 혹은 아주 많이) 넓어졌다는 것이다.

[마그나 이야기]
[달란트 이야기]에서의 딱 2문구만 소개하고 싶다.
(순서는 내가 읽은 순서로 말하려고 한다. 그래야 내가 느낀 것을 자연스럽게 소개할 수 있을 것 같다.)

- [달란트 이야기]: "누구나 자신만의 '달란트'를 가지고 있다. 단지 그것을 발견했느냐, 발견하지 못했느냐의 차이 일뿐이다."

- [마그나 이야기]: "인생이라는 거대한 연극 속에서 너는 가장 중요한 배역을 맡고 있으며, 너는 '나'라는 연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너는 '배역'을 바꿈으로써, 그리고 그렇게 믿음으로써 언제든지 너의 '인생이라는 연극'의 내용을 바꿀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너의 '인생'을 바꿀 수 있다."


이 두 문장은 - 물론 원문 그대로의 내용은 아니다. 기억력이 나빠서 모든 문장을 그대로 기억을 못한다.. -_- - 두 책을 읽으면서 나의 뇌리에 강하게 남은, 그래서 나 나름대로 함축하고 액기스 만을 모은 문장이다.
위 두가지 화두 - 나의 달란트는 무엇일까? 나는 어떠한 배역을 함으로써 나의 모습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는 두 책을 읽으면서 나에게 남겨진 과제가 되었다.

인생에 있어서 '근원적인 질문' 운운하면서 시작한 이글의 결론은 무엇일까?
안타깝게도 그리고 솔직하게 말하면..

없다...

결론은 나도 이제부터 찾아야하기 때문이다.
당장 내일 찾을 수 있을지.. 혹은 10년 후에 찾을 수 있을 지 모르지만 언젠가는 나만의 답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믿는다. 그리고 항상 노력할 것이다.

나만의 답을 어느정도 찾게 되면 결론을 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지금은 막 시작 단계이기 때문에 결론을 내면 너무 어설퍼서 싫다.

일단 2가지의 시작점은 찾았다..
그것만이라도 "지금은 괜찮다.."
그것만이라도 "나는 지금 또 다른 인생의 관점을 얻었다."
그것만이라도 "나는 희망을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