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우리 젊은날
시바타 쇼 지음, 김성연 옮김 / 한마음사 / 199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읽는데 약간 애를 먹은 작품입니다. 구입하는 과정부터가 신선했지요, 홈페이지 구경을 하다가 우연히 제목이 눈에 띄어 서평1개만을 의지한 채 구입하였거든요. 제목또한 산뜻하지요 <그래도, 우리 젊은날>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말한 '그래도, 지구는 돈다'와 무언가 교차되지 않습니까? 책을 읽기전에 제목과 책표지 앞 뒤를 살펴보았습니다. 도대체 무엇때문에 '그래도'라는 단어가 들어갔으며 '우리 젊은날'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혹시, 그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게 젊은 날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되더군요..

저는 아무래도 소설과는 거리가 좀 먼 사람인가 봅니다. 도저히 이해가 안되더군요 그렇다고 비소설과 거리가 가까운것도 아니지만요.. 우선 소설전개가 파격적이더군요(이건 제가 소설을 많이 접하지 않았기 때문에 느끼는 생각일수도 있습니다만..) 소설이 크게 5개로 나뉘어져있는데 그중에 2개가 전부 편지내용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소설을 읽는 도중 혼란이 오더군요. 내용이 뒤죽박죽 되어 되돌려 읽기를 반복에 반복.. 중간즈음에 회의가 들더군요.. 도대체 내용이 뭔가. 말하려는게 뭔가.?

이소설에 나온 그들의 젊었던 시절이 지금 저의 나이와 비슷합니다. 팔팔끓는 청춘이라고 해야할까요. 다만, 다른게 있다면 격동의 시기에 그들이 있었다면 나의, 우리세대는 격동과는 거리가 조금 있는 그들이 보기에 나약한 세대일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소설로써 그시대의 젊은이와 이시대의 젊은이들을 이어주는 매개체 역활을 할 수 있음을 느꼈습니다. 가벼운 듯 하면서 깊이있게 생각하게 만드는 책. 이책으로인해 사상적으로 정신적으로 다르게 생각했던 부분에 대해서도 다시금 생각하게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머지않아 우리들이 정말로 늙었을 때, 젊은이들이 묻게 될 지도 모른다.당신의 그 시절은 어떠했느냐고. 그때 우리들은 대답할 것이다. 우리들의 그 시절에도 비슷한 곤란은 있었노라고. 물론 시대가 다르므로 다른 곤란이긴 했지만 곤란이 있었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였노라고, 그리고 우리는 그 곤란과 서로 친숙해져서 이렇듯 늙었노라고. 그렇지만 우리들 중에도 곤란으로부터 뛰쳐나와 용감하게 새로운 생활에 발을 내딛으려고 했던 사람이 있었노라고.....' - 終章 中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