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서스와 올리브나무 - 양장
토머스 L. 프리드만 지음, 신동욱 옮김 / 창해 / 2003년 11월
평점 :
품절


"The Lexus and the Olive Tree"(렉서스와 올리브나무).

이미 책이 나온지 수년이 되었고 발간당시 DJ정부때 수인이 된 사람이 옥중에서 감명깊게 읽었다고 매스컴을 타면서 더 유명해진 책. 그때는 한낱 저널리스트가 쓴 에세이 정도로 생각한데다 언론에서 부추기는 베스트셀러에 대한 어느 정도의 혐오감으로 별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책이었다.

그런데 큰 녀석이 참가하고 있는 토론회 모임에서 교재로 사용한다고 해서, 그것도 원서로, 이 참에 큰 녀석과 눈높이도 맞추고 저널리스틱한 글을 통해 풍부한 교양을 쌓을 겸 도서관에서 번역서를 빌렸다. 그런데 그 두께부터 사람을 압도한다. 사전같은 두께에 800페이지에 한장이 모자라는 799페이지짜리 책이라니. 원서로는 500페이지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데 국어의 표현이 많이 긴가보다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어떠한 내용인지에 대한 사전 정보없이 서문부터 읽고 들어가니 바로 20세기말부터 불기 시작한 세계화의 의미를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한 책이란다. 불과 얼마전에 읽었던 장하준 교수의 "나쁜 사마리아인들"과는 정반대로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도래를 미래의 희망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즉 장하준 교수가 비판하는 신자유주의의 기본사상이 고스란히 들어있다. 큰 녀석이 토론할 때 렉서스 이후에 "나쁜 사마리아인들"을 교재로 사용하면 아주 유용한 주장과 비판에 관한 재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책이 발간된 지 7년이 지난 현재의 시각으로 보면 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진행상황과 이의 기반이 되는 인터넷이나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이 너무 익숙해져 새로운 맛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새로운 산업의 등장과 이에 따른 전세계 국가간의 연계성 증대에 따른 미래의 전망 등은 여전히 유효하고 유용한 듯 하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의 서평대로 세계화된 경제질서의 새로운 흐름에 대한 창의적인 설명을 저널리스트의 술술 읽히는 문장과 흥미진진한 사례들이 책의 두께에도 질리지 않고 집중시켜 준다.

아둔함 때문에 책의 중간부분에 다다라서야 제목의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가 의미하는 바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는데, 끝부분에서 저자는 이 의미를 보다 명쾌하게 드러내고 있다. 아래와 같은 사례를 통해서.

p.785. 세계화시대의 올리브 나무

그(배달업체의 흑인 남성)는 책을 상자 안에 되돌려넣으며 내게 이렇게 말을 붙였다. "흠, 그러니까 렉서스는 기술이며 컴퓨터 따위를 상징하는 말이군요?"

나는 맞다고 대답했다.

그는 또 "그리고 올리브타무는 공동체며 가정 등을 상징하는 거구요"라고 말했다.

나는 그렇다고 대답하며 "바로 이해하셨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러자 그가 이렇게 물어왔다. "그렇다면 말씀 좀 해보세요. 여기에서 하나님은 어떤 위치에 있는 것입니까? 우리의 예수 그리스도 말입니다. 여기서 그는 어떤 존재인가요?"

토머스 프리드먼은 세계화와 신자유주의를 따를 경우에만 모든 국가가 보다 부유해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미국은 지속가능한 세계화를 달성하기 위해 여전히 세계의 경찰이자 지도자로서의 사명을 굳건히 지켜야 한다고 마무리한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미국의 입장에서 본 세계화라는 약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미래를 보는 눈과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하는 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하도록 깊이 자극해주는 책이다. 더불어 대입 논술에서 모범답안을 작성하기 위해 인용해야 할 부분들이 수두룩할 수도 있는 실용서이기도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