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책을 읽고 알라딘서재를 가끔씩 돌아다니면서 수천개의 리뷰를 단 사람들을 보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도대체 그 부지런함, 읽는 것 보다 기록으로 남기는 부지런함에 대해.

리뷰나 감상은 책을 읽은 직후에 쓰느게 가장 풍부하고 직관적인 느낌을 담을 수 있는 것 같은데 며칠 지나보면 전반적인 책에 대한 감상만 남을 뿐 구체적으로 얻은 것들을 되새기기가 참 어렵다.그러다 보면 무언가 기록을 남겨야 겠다는 의지나 자신감도 점차 사라지게 되고. 점덤 더 그 책에 대한 기억은 가물해진다.

지난 1년간 조선에 관한 책을 꽤 많이 읽은 것 같다. 역사든 소설이든 "조선"을 배경으로 한 책이 가장 많이 출간되는 데다 역사에 관한 현존하는 기록은 조선이 대부분이라는 데 있겠지만, 참으로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책들이 조선을 배경으로 쓰여지는 것 같다.

바람의 화원, 뿌리깊은 나무, 역사사랑,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등 모두 조선을 배경으로 아마도 조선왕조실록을 참조한 소설이나 역사서가 아닌가.

강명관이 쓴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도 조선의 지독한 애서가, 다독가이자 박학한 지식인이자 교양인들을 뼈대로 쓰여진 책이다. 조선을 시작한 정도전부터 근대의 인물이라고 볼 수 있는 신채호까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세종이나 정조, 박지원, 정약용 등의 실학자부터 다소 이름이 낮선 홍석주나 유만주에 이르기 까지 22명의 조선 지식인이 읽은 책이나 독서에 관한 열정이나 자세 등을 역사적 배경을 곁들여 이야기를 전개해 가고 있다.

일부 사람들의 높지않은 평가에 큰 기대를 품지않고 책을 샀지만 주말 이틀동안 지루한 줄 모르고 읽어나갔다. 독서의 역사에 관심이 많고 애서가 또는 장서가를 꿈꾸는 내게 책벌레라는 제목 자체가 어느정도 책에 몰입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준덕도 있을터이다.

몇가지 생각나는 것.

저자의 조선왕조나 왕에 대한 평가는 매우 비판적이다. 왕은 아무리 개혁적이라도 성리학을 중심으로 형성된 현체제를 흔드는 어떠한 저항도 허용치 않는다. 권력을 유지하는 한도내에서만 개혁적이다. 이러한 인식은 정조에 대해 두드러진다. 정조가 중국을 통해 서구문명이나 서적을 충분히 접했음에도 문체반정을 주도하고 정약용이나 기독교신앙을 받아들이는 무리들을 박해하는 것을 그 증거로 든다. 정조는 서양문물을 접했지만 이를 배척하고 더욱 굳건히 성리학 중심의 조선을 유지하려고 했다. 이러한 인식은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같은 책에서와는 조금 다른 것 같다. 아마 여기서는 정조의 기독교도 박해가 노론과 소론, 또는 남인과의 권력투쟁과정에서 발생하는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평가했던 것 같다.

또하나 저자는 모든 저자들의 새로운 사고나 사상은 책읽기를 통해 다른 사람의 지식이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결과로 인식한다. 특히 독창적인 글쓰기로 모두 인정하는 연암의 글조차 당시 중국 베이징의 유리창에 있는 서점에서 들여온 최신 서적을 통해 접한 다양한 문체나 사고의 연장선상에서 탄생한 것이라는 점을 밝혀낸다. 물론 그럼에도 연암의 열하일기의 탁월성의 빛이 약해지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인다.

이 책을 읽으면 조선 전기 또는 중기까지 조선이 얼마나 주자의 경전해석을 담은 주자대전을 중심으로 한 성리학의 세계였는지, 책이라는 것이 주로 귀족들만이 접할 수 있는 얼마나 귀한 재산인지, 18세기가 되어서는 얼마나 많은 지식인들이 양명학, 고증학 등 중국의 다양한 사상을 접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조선 최고의 장서가가 누구였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당시 책읽는 사람들의 책을 대하는 자세나 책을 읽는 습관 등을 덤으로 얻을 수 있으며 그들의 책읽는 모습이 현재의 우리와 크게 다르지도 않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물론 지금은 원하는 사람 대부분 적당한 가격에 원하는 책을 구할 수 있는 세상이 되었지만.

특히 가난한 애서가이자 책벌레인 이덕무는 책을 빌려보는 일이 무척 많았든 듯 책을 빌리는 예의를 설교하고 있다. 어릴적 책이 별로 없어 세계명작 전집이 꽃혀 있는 친구의 서가를 보고 부러웠던 시절이 생각나 그 내용을 옮겨본다.

"책을 빌려주는 것의 기본정의다. "남에게 책을 빌려주어 그 사람의 뜻과 사업을 키워주는 것은, 남에게 돈과 재물을 주어 그 곤궁과 굶주림을 구제해 주는 것과 같다." ... 하지만 남에게 책을 빌려주기를 강요해서는 안될 것이다. "남의 책이나 시문, 그림은 보고 난 뒤 빌려주기를 청할 것이며, 주인이 허락하지 않을 경우 억지로 빼앗아 소매 속에 넣고 일어나서는 안된다." .... 남의 책을 빌리면 정하게 읽거나 베끼고 기한 내에 돌려주어라. 기한을 넘기거나 주인이 독촉하는데도 돌려주지 않으면 안된다. 또 빌린 책을 돌려주지 않고 다시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어서는 안된다. 지켜야할 예의는 이것뿐이 아니다. 남의 아직 완성하지 못한 책이나 장정이 안된 서화를 빌려서는 안된다. 완성품이 아니기 때문에 원작이 손상될 수 있는 탓이다. 빌려준 사람에게 보답도 해야한다."(pp.236-2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