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퍼트리샤와 캐런의 사고력의 사다리

 

 1. 1단계) 사다리 최하층

     지식이란 절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기에 그것을 관찰하기만 하면 된다. 절대적 확신 

     추상개념이 존재하지 못함---- 아이들의 사고

     → 할머니, 할머니가 죽으면 나한테 전화해서 어떤지 알려주세요.

     → 내 눈으로 본게 진실이야. 토 달지 마

 

2. 2단계) 알지 못할것은 이세상에 아무것도 없음. 권위자의 지식에 의존

    어떤 사실이나 개념뒤에 숨어있는 힘을 보지 못함

     → 인터넷에서 봤으니까 사실이야.

 

3. 3단계) 권위자에게 의지하지만 권위자의 한계를 인지

    아는 사람이 없는 문제는 자기의 믿음으로 채우면 된다고 생각

 

****1, 2, 3단계 :  지식이 ㅣ권위자에게서 나온다고 믿음

 

 

4. 4단계)우리가 확실이 알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어요. 자기가 그걸 어떻게 보느냐에 달려있죠.

    자신의 확고한 믿음을 뒷받침 해 줄 이유와 증거만을 찾음.

   → 약한 의미의 비판적사고

 

5. 5단계) 모든 것을 증거에 대한 해석으로 봄. 우리는 그 해석들을 알 수는 있어도 판단할

   수는 없음

  → 수많은 해석이 존재할 수 있음을 알지만, 쉽게 어떤 결론에 이르지 못함

 

***4단계, 5단계 : 증거가 중요하지만 , 그 증거를 어떻게 사용해 결론을 이끌어 내느냐는 전적으로 자기 자신에게 달려있음. 증거를 이용하긴 하지만, 결론을 도출해 내는 방식을 모르기 때문에 판단을 개인 특유의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음

 

6. 6단계) 지독히도 복잡하고 성가신 문제를 만났을때 여러 시각에서 증거를 평가하고 거기서 비롯되는 해석들과 아이디어들을 찾음.  여러관점과 다양한 맥락에서 증거와 의견들을 상호비교.

→ 이 증거는 결론을 내는데 얼마나 유용할까? 꼭 결론을 내야할까? 아니면 불확실한 이 상황을 그냥 감내해야 할까? 잠정적 해결책이 문제를 조금이나마 풀어줄까 아니면 오히려 더 많은 의문을 불러일으킬까?

 

7. 7단계)비구조화된 문제와 맞닥뜨렸을때 합리적 탐구를 통해 지식을 구축하고,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사실을 의식적으로 인지. 자신이 믿는대로만 믿는것이 아니라 현재의 증거를 통해 합리적이고 개연성있는 결론을 이끌어내고 새로운 증거나 참신한 시각 또는 새로운 연구 수단이 나타나면 재평가에 들어감.

→ 어떤 주장을 평가하려면, 그 명제가 얼마나 면밀한지, 어떤 추론과 증거를 사용했는지, 그 사람이 다른 주제에 대해 펼쳤던 주장에 비해 얼마나 일관성이 있는지 보면 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