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문예반 바일라 6
장정희 지음 / 서유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춘기 문예반"을 찾아서

나는 30년 전부터 문예반 지도교사였다. 그때의 제자들은 지금도 그 시절을 이야기하곤 한다. 그러나 최근에 거의 대부분의 학교에서 문예반이 사라졌다. 그런데 장정희 작가가 쓴 장편소설 『사춘기 문예반』이라는 소설이 나왔다. 나는 너무나도 반가웠다. 아직도 문예반이 살아 있다니? 요새는 학생들에게 글을 써보자는 말을 꺼내기도 힘든데 말이다.

현직 고등학교 국어교사인 작가는 30년 넘게 문예반을 지도하고 있다. 참 끈질기고 오기가 창창하다. 작가는 글쓴이의 말에서 ‘글쓰기가 오늘의 청소년들에게 자신을 지켜 나가는 힘, 타인의 고통과 아픔을 어루만지는 따뜻한 손길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글을 썼다.’고 말한다. 그러니까 작가는 그가 근무하는 학교의 문예반을 떠나서 대한민국의 문예반 지도교사이기를 자임하고 있는 것이다.

고선우는 까칠하면서도 주저흔이 손목에 있는 머리카락이 짧은 소녀로서 외할아버지와 단둘이 살고 있다. 아버지는 게임중독 폐인으로서 소식을 모르고, 엄마는 아버지의 폭력을 피해 집을 나가 외국에서 살고 있다고 한다.
오미수는 친구들로부터 부러움을 사고 있는 팔방미인지만 엄마의 기대가 커서 방황하는 문예반 반장으로서 백일장 대회에서 대상을 받지만
고선우에게 장문의 편지를 남기고 어딘가로 떠나버린다.
심주희는 먹기를 좋아하고 태평스러우면서 낙천적인 덩치가 큰 소녀로 주변에 친구가 많다.
문쌤은 문예반 지도교사, 오직 글을 쓰는 것만을 강조하는 소설가로서 문예반 학생들에게는 구세주 같은 존재이다.

이 소설에서는 인문계 여고생들이 문예반 활동을 하면서 글쓰기에 눈을 떠가는 과정이 흥미롭게 펼쳐진다. 특히 상처투성이인 고선우가 변화하는 모습은 경이롭다. 자기 삶을 부정하고 반항적이기만 하던 고선우는 입체적 인물로서 독자들의 시선을 사로잡기에 부족함이 없다. 그만큼 작가는 고선우라는 인물을 살리기 위해서 고민을 많이 했을 것이다.

이 소설 곳곳에서 펼쳐지는 사건들은 개연성이 있는, 우리 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것들이다. 이 소설은 사회구조가 엄청나게 변해버린 현실을 담고 있다. 알바를 하는 학생들, 꿈이 없는 학생들, 시험을 두려워하는 학생들, 그리고 이러저러한 이유로 상처 받은 학생들...

작가는 따뜻한 시선으로 고선우를 바라보고 있다. 할아버지와 화해하고 아버지를 병원에 입원시키는 보호자가 되면서 뜨거운 눈물을 흘리게 함으로써 작가는 상처 입은 영혼이 성숙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그 중심에 글쓰기가 있음을 숨기지 않는 것이다. ‘꽃의 분절’이라는 집단창작시는 문예반 학생들이 한 단계 올라섰음을 보여주는 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