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나에게만 친절합니다 - 독일인에게 배운 까칠 퉁명 삶의 기술
구보타 유키 지음, 강수연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1월
평점 :
조금은 이기적이라도 괜찮아 나를 위해서라면-.
이번에 가지고 온 책은 RHK에서 출판된 '나는 나에게만 친절합니다'라는 책입니다!
일본인인 작가가 독일의 베를린으로 가서 정착하면서 보고 느끼게된
독일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책이에요
어렵지 않고 재미있게 금방 읽을 수 있는 가벼운 에세이 정도라고 생각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212/pimg_7153171042382255.jpg)
일단 책 표지에 보이는 선인장이 제목과 참 잘 어울리는데요
남들에겐 가시가 돋힌 무서운 선인장이지만 스스로에겐 그 가시가 굉장히 중요한 존재잖아요?
자신만의 방법으로 사막에서도 맹렬(?)하게 살고 있는 선인장들과 독일인들은 얼마나 닮았을까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212/pimg_715317104238225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212/pimg_7153171042382257.jpg)
책을 읽으면서 무엇보다 부러웠던 것들은 독일인들이 일하는 스타일이었어요 자신이 하고 싶은 방식으로 일을 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는 건 정말 충격이었습니다
최근에 한국에서도 뭐 탄력근무제니 집중근무시간이니 하면서 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이야기는 많지만 독일처럼 일하고 싶은 방식을 선택한다니...
그게 가능하다니...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었어요... 또한 제목처럼 자기가 할 일이 끝나면 바로 칼퇴한다는 사실도요...
특히나 디자인 일을 하고 있는 저에게.... 칼퇴가 가당키나 한가요? 꿈에서만 듣던 이야기네요 칼퇴라니...?!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212/pimg_715317104238225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212/pimg_7153171042382259.jpg)
또 휴가나 단축 근무가 일상적이고, 당연하게 사용하는 거라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놀라웠어요
한국은 연차도 월차도 휴가도... 쓰려면 눈치가 보이는 일이 많은데 아주 당연한 권리로 생각한다는 것이 부럽더라구요
독일이 이렇게 일하는 방식이나 삶의 방식을 원하는대로 선택할 수 있는건
사회의 시스템이 잘 정립되어서만은 아닌 것 같았어요
그들의 마인드 자체가 어느정도는 본 받아야 할 것들이 많더라구요
물론 서비스의 불모지인 만큼 불친절에 대해서는 좀... 고쳐야 할 듯 싶긴했어요
내가 대접받지 않아도 되니까 남들도 대접하지 않는다는 마인드라니...?! 너무 극단적이지 않나요?
아니면 한국인들이 너무 예의가 있는걸까요?
이 책은 독일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관련된 내용 뿐만 아니라
작가님이 독일에서 정착하면서 집을 꾸미고, 음식을 먹고 하는 일상적인 이야기들도 담백하게 담겨있어요
사진들도 하나 같이 예뻐서 정말 외국에서의 삶에 대한 로망을 불러 일으키는데요
하지만 로망은 로망일뿐 진짜 저렇게 떠날 용기를 가진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겠죠
낯선 곳에서의 새로운 출발은.... 나이가 들수록 두려워지기 마련이니까요
저 역시도 젊다면 젊지만 그렇게 어린 나이가 아니라서 그런지 떠나라해도 무서울 것 같네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212/pimg_715317104238226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212/pimg_715317104238226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212/pimg_7153171042382262.jpg)
그리고 또 하나 제가 마음에 들었던 내용은 화장에 관련된 내용이었어요
최근에 페미니즘에 대한 이야기가 많잖아요 그러면서
뭐라지.. 탈 코르셋이죠? 짧은 쇼컷, 노브라, 노메이크업 등을 지향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는데요
하지만 여전히 사회의 인식은 크게 변화하지 않더라구요
저는 화장을 거의 하지 않는 사람이라서 화장에 흥미도 없고, 관심도 없는데
여자라면 화장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브랜드도 알아야 하고,
다른 사람에게 좋게 보이기 위해서 화장을 해야한다는 말과 생각이 정말 너무 싫었어요
화장은 제가 하고 싶을 때 아니면 절대 하지 않거든요
가족들만 해도 화장품을 선물로 챙겨주는 경우도 많고, 스킨, 로션 등 기초라고는 하지만
발랐니 챙겨쓰니하면서 관심도 심각해서 가끔 스트레스 받을 때도 있었어요
화장도 멋도 내 기분이 좋아지거나 즐기기 위한 것.
남의 지시를 받아서 하는 게 아닙니다.
하지만 독일에서는 그런 화장이라는 코르셋을 강요하는 사람이 오히려 매너가 없는 사람이고
화장을 강요하지 않고, 강제하지 않는다는 그 말이 너무 좋더라구요
어쩌면 저렇게도 남들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건지.... 저 같은 사람은 진짜 남의 눈치보기에 바쁜데...ㅜㅜ
무엇이든 역시 최종적으로는 자신만의 기준과 사고방식에 따릅니다.
독일의 건강한 개인주의는 확실히 본받을 만한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특히나 독일의 일에 대한 관념을 배우면 좋을 것 같아요
시도때도 없이 일과 개인 삶의 경계의 선을 넘은 일도 많는데 그럴 때 딱 끊을 수 있다면,
아니 애초에 선을 넘지도 않는다면 정해진 일을 제외하곤 이기적이라고 할지 몰라도
분명한 선을 그을 수 있다면 개인주의적이지만 나 자신은 행복할 수 있으니까요
물론 그렇게 탄력적으로 일을 하고, 내가 쉰만큼 남도 쉬고 그때는 나도 더 최선을 다해서 일한다는 생각을 하면
업무의 효율도 올라가고 그럼 회사도 좋지 않을까요?
남들의 시선은 필요없고 무조건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나만의 스타일과 기준에 맞게 행동할 수 있는 멋진 마인드...
물론 개인적으로는 조금만 더 친절하면 더 저의 기준에 부합하다고 생각하긴 하지만요...
결국 벗어날 수 없는 한국인의 굴레ㅠㅠ...
어쨌든 그런 독일인의 마인드를 본받는다면 우리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정신적으로 건강할 수 있지 않을까요?
독일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보면서 부러움과 동경을 느끼게 된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언젠가 독일에 여행을 가서 그들만의 라이프 스타일을 직접 눈으로 지켜보고 싶어집니다
그럼 저는 다른 포스팅으로 또 돌아올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