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로기俘虜記

오오카 쇼헤이 장편소설 | 허호 옮김 | 문학동네

 

 

근대 일본문학의 시대적 증언 역할을 한

전쟁문학의 걸작!  

 

건조하고 명료한 문체로 그려낸

인간의 고독과 에고이즘  

 

“만약 오오카 쇼헤이와 아베 고보가 살아 있었다면

이 노벨문학상은 그들에게 돌아갔을 것이다.”

_오에 겐자부로

 

 

자전소설이란다. 전쟁문학의 걸작이라나.

인간은 어떤 상황에 처하더라도 이기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그 무리를 다스리고 싶어하고 지배하고 싶어 한다.

포로수용소라고 다를 바 없다.

오히려 폐쇄된 공간에서 인간의 삶은

어쩌면 더 무서운 집착으로 가득할 것이다.

더구나 이 작품 속 포로수용소는 끔찍하거나 처참하지 않다.

그렇지만 그 시스템에서 살아남기 위한 인간군상의 이기적인 행동들은

읽으면 읽을수록 회의적이다. 또 다른 전쟁의 모습이랄까.

중간자적 입장에서 쇼헤이가 본 포로수용소의 모습은

나라와 나라의 전쟁이라기보다는 인간 대 인간의 전쟁이다.

 

 

 

 

 

_ 미래에는 죽음이 있을 뿐, 우리가 그 죽음에 관해 떠올릴 수 있는 것은 완전한 허무이며, 죽음으로 옮겨가는 것도 지금 내가 어쩔 수 없이 수송선을 타게 된 것과 동일한 추이에 의해 가능하다면, 나에게 더이상 무슨 고민이 있겠는가? 나는 거듭 나 자신을 설득했다. 그러나 죽음의 관념은 끊임없이 되돌아와 생활의 매 순간 나를 엄습했다. 결국 나는 죽음이란 대수롭지 않으며, 다만 지금 확실한 죽음을 눈앞에 두고서도 살아 있다는 것 자체가 문제임을 깨달았다. -15쪽

 

_ 전쟁의 비참함은 인간이 본의 아니게 죽어야 한다는 사실에 있을 뿐, 어떻게 죽느냐는 문제되지 않는다. 더구나 그 사람들은 대부분 전시 혹은 국가가 전쟁을 준비하는 기간 중에 기꺼이 은혜를 받았던 자들이기에, 정확히 말하자면 모두 자신의 잘못이라고 할 수 있다. - 356쪽

 

 

 

 

 

쇼헤이의 작품에 등장하는 포로들은 포로가 되기 전보다 훨씬 편안해진 인간 군상들이다. 이제 전쟁은 끝났고 전범재판에 회부되지도 않았으니 어쨌든 집에 갈 일만 남은 자들이다. 더구나 인도주의를 표방한 미군들은 일본인 포로들에게 인간적인 대우를 해준다. 포로가 되기 전보다 훨씬 좋은 곳에서 지내면서, 훨씬 좋은 음식을 먹고, 의료나 문화 서비스까지 받게 된 인간 군상들은 너무 쉽게 타락하기 시작한다. 그들은 더이상 생사를 헤매던 군인들이 아니다. 조금 더 많이 먹고 조금 더 편하기 위해 그저 욕심으로 점철된 하루하루를 보내는 무의미한 족속들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죽이지 않으면 내가 죽는다’고 아침저녁으로 외치던 바로 그 적들의 보호 아래 타락하고 있는 것이다. 왜 전쟁을 했는지조차 잊어버린 채 타락하는 포로들을 보며 쇼헤이는 냉정한 시선을 던진다. 소설은 ‘타락한 포로’라는 흔치 않은 표본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되묻는 것이다. 편한 잠자리와 통조림 깡통 몇 개에 너무나 쉽게 타협해버리는 인간의 본질적 졸렬함. 이것이 책에 담긴 가장 중요한 메시지일지도 모른다. _허연(시인)

 

 

미리보기 알림 페이지로 바로가기▶ http://cafe.naver.com/mhdn/48370

 

 

 

전후문학의 기수라 불리던 오오카 쇼헤이의 처녀작이자 출세작인 『포로기』

태평양 전쟁 당시 실제 체험을 바탕으로 쓴 자전적 작품이다.

근대에 들어 청일 전쟁, 러일 전쟁, 태평양 전쟁 등을 차례로 겪은

일본의 역사적 배경은 전쟁에 관한 수많은 문학작품들을 낳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어리석은 전쟁으로 평가되며 결국 패배로 끝난

태평양 전쟁 당시를 묘사한 오오카 쇼헤이의 작품은,

극한 상황에 몰린 인간의 본질에 대한 성찰과 더불어

개인과 집단의 관계성과 그 영향에 얽힌 심리를 묘사했다는 점에서

이전의 전쟁문학 작품과 차별성을 가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