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그네Atemschaukel

헤르타 뮐러 장편소설 | 박경희 옮김 | 문학동네

 

 

2009년 노벨문학상 수상

 

언어로 만든 예술품,

이 책을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 _포쿠스  

 

숨 막히는 공포와 불안에 맞선 신비로운 시적 언어,

소설을 뛰어넘는 압도적인 언어 예술!

 

 

시처럼 아름다운 문체로

공포와 불안을 표현하는 일은, 그녀이기에 가능할 것이다.

제목이 말하듯 인간의 숨이 삶과 죽음 사이에서 그네처럼 흔들린다면

숨을 쉴 때마다 우리는 삶과 죽음을 오가는지도 모른다.

 

 

 

 

_ 나는 초록색 장갑을 꼈다. 바로 거기, 가스계량기가 있는 나무복도에서 할머니가 말했다. 너는 돌아올 거야. 그 말을 작정하고 마음에 새긴 것은 아니었다. 나는 그 말을 대수롭지 않게 수용소로 가져갔다. 그 말이 나와 동행하리라는 것을 몰랐다. 그러나 그런 말은 자생력이 있다. 그 말은 내 안에서 내가 가져간 책 모두를 합친 것보다 더 큰 힘을 발휘했다. 너는 돌아올 거야는 심장삽의 공범이 되었고, 배고픈 천사의 적수가 되었다. 돌아왔으므로 나는 말할 수 있다. 어떤 말은 사람을 살리기도 한다. - 18쪽

 

_ 내가 참고 견딜 수 있었던 것은, 손수건이 내 운명이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운명을 포기하면 지는 것이었다. 나는 확신했다. 너는 돌아올 거야 라는 할머니의 작별인사가 손수건으로 모습을 바꿨음을. 나는 손수건이야말로 수용소에서 나를 보살펴준 단 한 사람이었다고 한 점 부끄러움 없이 말할 수 있다. 지금도 그 확신에는 변함이 없다. - 89쪽

 

 

 

말은 사치이고, 관념이며, 기만일 수 있던 시대에, 말에 매달려 말로 버티는 인물이 여기 있습니다. 그것도 강제수용소라는 장소에서. 소설 속 청년이 자기가 한 비밀스러운 연애, 즉 '랑데부'를 일컬어 표현한 것처럼, 그렇게 '특별하고, 더럽고, 수치스럽고, 아름다운' 단어들로 말입니다. 그런데도 이게 왜 시가 아니고 소설이 됐는지는 이 소설을 끝까지 읽어보시면 알게 될 거예요. 육체와 정신을 집요하게 갉아먹는 고통 속에서, 누군가 하도 만져 닳고 너절해진 낱말들이, 아름답되 먹지 못하는 열대어처럼 잔인하게 빛나고 꼬리치며 달아나는 모습 또한 보시게 될 거고요. 말에 매달려, 말과 싸우며, 말과 더불어 살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모양새가 얼마나 간단치 않은지, 그 또한 말을 빌려 온 힘으로 설명하고 있는 청년의 목소리가 먹먹합니다.

 (미리보기 알림 페이지로 바로가기▶ http://cafe.naver.com/mhdn/48086

_숨그네』는 이차대전 후 루마니아에서 소련 강제수용소로 이송된

열일곱 살 소년의 삶을 강렬한 시어로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순찰대가 나를 데리러 온 건 1945년 1월 15일 새벽 세시였다. 영하 15도, 추위는 점점 심해졌다.”

열일곱 살의 소년 레오폴트 아우베르크는 그렇게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는 노동 수용소에서의 오 년 동안 기본적인 욕구만 남은 고통스러운 일상과

단조롭고 끝없는 고독을 경험하며 삶과 죽음 사이에서 흔들린다.

고향으로 돌아와 대도시로 이사를 하고 결혼을 한 후에도 공포는 사라지지 않는다.

인간의 숨이 삶과 죽음 사이에서 그네처럼 가쁘게 흔들리는 것을 상징하는 『숨그네』

철저히 비인간화한 상황 속에서 살아남고자 하는

간 삶의 한 현장을 섬뜩하면서도 아름답게 포착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