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장각 각신들의 나날 2
정은궐 지음 / 파란(파란미디어)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규장각 각신들의 나날 2권은 홍벽서, 그리고 더 나아가 규장각 철폐를 노린 청벽서의 계략으로 인하여 곤경에 처한 잘금 4인방과 대물 김윤식의 간통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다.  

청백서 때문에 다시 등장한 홍벽서 때문에 조정은 시끄러워지고 홍벽서를 추종하는 무리들의 벽서가 사방에 붙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사헌부를 비롯한 관원은 홍벽서를 잡기 위하여 혈안이 되고 재신은 위기에 몰린다.  잘금 4인방은 청벽서의 정체를 추적하다가 재신이 홍벽서임을 알고 있는 청벽서가 재신과 같은 소론이며 사헌부에 속한 자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이들보다 한 발 앞서 재신이 홍벽서임을 눈치 챈 왕과 그의 아버지 이조판서 문근수, 그리고 선준의 아버지 우의정 이정무가 각자 손을 쓰는 바람에 일은 더욱 복잡해진다. 게다가 용하, 재신, 선준이 왕의 명령으로 암행을 떠나게 되고 그 사이 윤희는 궁녀와 간통했다는 모함을 받게 된다. 위기 속에서 윤희는 다행히 초선의 도움을 받아 누명을 벗고 홍벽서를 구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잘금 4인방과 왕, 그리고 하나의 목적으로 뭉친 앙숙 사이 우의정과 이조판서가 서로 힘을 합친 탓에 홍벽서와 청벽서의 일은 순조롭게 마무리된다. 이후 윤희는 우례를 무사히 마치고 정식으로 선준의 부인이 되고 그동안 가슴 졸이는 사랑을 하고 있었던 윤식도 사모하는 황 낭자와 혼례를 올리게 된다.

청벽서 사건은 개혁이나 변화에는 항상 반대가 따른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한 사건이었다. 승문원, 사헌부, 승정원, 예문관, 홍문관의 기능을 규장각으로 통합하려는 정조의 계획을 반대하고 규장각을 철폐하려던 자가 정조의 총애를 받던 사람이라는 사실에 무척 씁쓸한 기분이 들었다. 규장각에 대한 신하들의 반발이 어느 정도였는지 이 작품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윤식이 그 누이일지도 모른다는 심증은 있었으나 물증이 없었던 정조가 윤희가 여자임을 알게 되었을 때 느끼는 분노와 탄식이 묻어나는 대사가 인상적이었다. 윤희가 뛰어난 재능이 있고 좋은 관리가 될 재목임에도 불구하고 여자이기 때문에 자신의 신하가 될 수 없다는 사실에 갈등을 거듭하는 정조의 모습이 안타까웠다. 그리고 어머니 혜경궁 홍씨와 할머니 정순왕후 때문에 여자를 믿지 못하게 된 그가 가엾게 느껴졌다. 또한. 하지만 간통 사건을 계기로 하여 정조가 윤희를 받아들이고 그녀에게 여인의 삶을 되찾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모습은 무척 인자한 군주의 모습이었다. (아버지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아간 노론 세력에게 복수하려는 인간적인 모습도 볼 수 있었다.)  

항상 멋부리기 좋아하고 여인의 뒷꽁무니만 쫓아다닐 법한 용하가 거의 모든 조정 대신들의 약점을 잡고 있고 암행 나간 지역의 상황을 재빠르게 파악하는 모습에 깜짝 놀랐다. (역시 만만한 녀석이 아니야... 笑) 그리고 선준, 재신, 윤희를 소중한 벗으로서 진심으로 아끼는 그의 넓은 마음이 무척 감동적이었다. 또한 용하와 그의 부인에 얽힌 이야기가 나오는 부분에서는 그가 아무 고민도 없는 사람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어 마음이 아팠다. 한편 재신과 다운의 아기자기한 에피소드도 재미있었다. 그래도 여전히 윤희를 생각하는 재신의 마음이 안타까웠다.  

단지 여자라는 이유로 뛰어난 능력이 있어도 관직에 오를 수 없었던 시대가 야속하고 이를 당연히 여기며 자신이 여자로서 너무 많은 욕심을 낸다고 생각하는 윤희의 모습이 조금 답답했다. 그러나 그 누구보다 영리하고 뛰어난 관리인 그녀가 부럽고 자랑스러웠다.   

드디어 청나라로 떠나는 잘금 4인방! 그들에게 펼쳐질 청나라는 어떤 모습일까, 그리고 과연 윤식과 윤희가 제 자리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인가... 다음 이야기도 무척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