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가 사랑한 수식
오가와 요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이레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혹은 나의 소중한 사람의 기억이 겨우 80분 동안만 지속되는 병을 앓는다면 어떤 기분일까...?   

절망적인 기분일 것이다. 아마도 80분마다 새로운 삶을 살아야 하는 본인이 가장 괴롭겠지만 그것을 옆에서 지켜봐야 하는 가족이나 친구들 역시 괴로울 것이다. 아무리 즐겁고 행복한 추억을 만들어도 한 쪽은 금방 잊어버려서 두 번 다시 기억해내지 못할 것이고 다른 한 쪽은 영원히 기억하면서 그를 안타깝게 여길 테니까 말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행복이나 희망을 가질 수 있을지 솔직히 의문이다. 

오가와 요코 作 '박사가 사랑한 수식'은 이미 일본에서 영화로 만들어졌을 만큼 유명한 작품으로서 10살짜리 아들을 둔 미혼모 파출부와 교통 사고 후유증으로 기억이 80분 동안만 지속되는 수학 박사의 따뜻하고 아름다운 우정을 그리고 있다. 경력 10년의 나이 어린 파출부가 기억이 80분만 지속되는 박사를 보살피게 된다. 파출부로서 배태랑인 그녀조차 처음에는 박사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고민하지만, 소수를 사랑하고 사소한 것에도 깊이 감사하는 박사의 겸허한 성품을 알게 되고 우연한 계기로 그녀의 아들이 박사와 친구가 되면서 세 사람 사이에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끈끈한 우정과 가족보다 깊은 애정이 생겨난다.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 책에서는 소수, 정수, 그리고 학창 시절 누구나 한 번쯤 접해 봤을 수학 공식이나 전문적인 수학 이론이 하나의 언어로서 등장한다. 개인적으로 수학을 좋아하지 않고 어려워했기 때문에 박사가 언급하는 끝이 보이지 않는 숫자를 보는 순간 질겁했지만 파출부와 마찬가지로 종이에 계산을 하며 점차 흥미를 갖게 되었다. 전혀 어렵다거나 지루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다. 그리고 소수와 완전수에 대한 박사의 애정과 신뢰가 따뜻하고 인간적으로 다가왔다.   

기억이 80분 동안만 지속되어 외출 또는 변화에 익숙하지 않은 박사. 미혼모로서 힘든 세월을 살아온 파출부와 아버지는커녕 가까운 친척조차 없어서 외로운 그녀의 아들 루트... 얼핏 보면 세 사람은 전혀 공통점이 없이 어울리지 않는다. 그러나 박사는 파출부 모자를 통하여 단절되었던 외부 세계를 접하게 되고 두 사람에게 애정을 품으면서 삶의 활력을 되찾는다. 파출부 모자는 박사의 서툴지만 따뜻하고 세심한 배려를 통하여 인간적인 정을 느끼게 된다.  

박사의 언어로 표현하자면 비록 완전수는 아니지만 아름다운 소수인 3이라는 숫자로 세 사람을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이 작품을 읽는 내내 가슴 한 켠이 아련해져 왔다. 점점 병세가 악화되어 가지만 파출부 모자로부터 선물 받은 에나쓰 카드를 항상 몸에 지니고 있는 박사와 마지막까지 그와 함께 하는 파출부와 루트의 모습은 슬픔이나 절망이 아닌 순수한 사랑과 희망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 "실생활에 보탬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래서 더욱 수학의 질서가 아름다운 거야." (본문, p.1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