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죽음의 나쁜 예 - 법의학이 밝혀낸 엉뚱하고 기막힌 살인과 자살
에두아르 로네 지음, 권지현 옮김 / 궁리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단순하면서 기괴한 느낌을 주는 표지와 '완벽한 죽음의 나쁜 예'라는 독특한 제목이 내용에 대한 호기심과 궁금증을 불러 일으켰다. 이 책은 법의학 도서에 속하지만 저자가 법의학자가 아니라 기자이다. 따라서 전문적인 법의학 지식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으며 대신 법의학자들이 발견한 특이하고 황당한 자살 사건의 전말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자살(自殺). 자기 자신의 목숨을 스스로 끊는 것으로서 높은 건물이나 다리 위에서 투신하거나 수면제 또는 청산가리 등의 독을 마시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자살률 1위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자살은 그리 낯선 단어가 아니다. 무척 안타깝고 씁쓸한 일이다. 

'완벽한 죽음의 나쁜 예'에서는 다양한 도구와 방법으로 목숨을 끊은 사람들 또는 어리석은 행위로 목숨을 잃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밧줄, 권총, 칼, 톱 등 일반적으로 흉기가 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연필, 드라이버, 망치, 비닐 랩, 전기 스탠드 등 의외의 도구가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자살에 사용되고 있었다. 게다가 성욕(性欲)을 채우기 위한 목적이 결국 죽음을 초래한 사례가 많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특히 주로 남자들이 진공 청소기 및 농기계를 이용하다가 결국 크게 다치거나 죽게 된 사례가 충격적이었다.  

이 책은 다소 엽기적이고 황당한 사건을 담담하고 시니컬한 문체로 풀어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자살한 피해자가 처한 상황이나 심리적 상태는 무시한 채 사체의 상태만을 무덤덤하게 진술하는 법의학자들의 태도에 대하여 빈정거리고 있다. 법의학의 전문 지식은 얻을 수 없으나 평소 들을 수 없는 독특한 죽음에 대하여 접할 수 있다.  

한편 서양인 특유의 시니컬한 유머가 많기 때문에 다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있으며 주로 학술지를 참고 문헌으로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읽기가 좀 어지럽다는 단점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