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령들의 귀환 - 1636년 고립된 한 마을에서 벌어진 의문의 연쇄살인사건 꿈꾸는 역사 팩션클럽 3
허수정 지음 / 우원북스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솔직히 우리나라 추리소설은 별로 읽지 않는데 '혈의 누 이래 가장 무섭고 이상한 마을'이라고 적힌 붉은 띠지가 먼저 눈에 확 들어와서 흥미가 생겼다. 그리고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적 사실과 '망령'을 소재로 한 미스터리 소설이라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작품의 배경은 임진왜란이 끝난 지 38년 후의 '까마귀촌'이라는 산 속에 고립된 마을이다. 왜관에서 통역일을 하는 박명준(朴明俊)이 교토야(京都屋)의 주인 아베(安部)로부터 동생을 찾는다는 일본인 오카다(岡田)를 까미귀촌까지 안내해줄 것을 부탁받으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밤에 팔공산을 넘다가 승낭이떼에게 쫓겨서 낭떠러기로 떨어진 명준과 오카다는 까마귀촌의 윤성호와 유생 장수봉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다. 목적지인 까마귀촌에 입성한 명준은 피부가 새하얀 윤성호의 딸 연화를 두려워하며 '망령의 저주'를 받는다며 외지인을 극도로 배척하는 마을 사람들의 태도가 마음에 걸린다. 게다가 일본풍의 성황당과 성황당을 지키는 '신관'이라는 표현, 마을 사람들을 '귀신'이라고 부르며 5년 전부터 까마귀촌을 예의주시하여 두 달 전 발견된 변사체를 계기로 조사차 마을에 체류하고 있는 감영 나리 김경덕에게 도와달라고 매달리는 노파까지... 명준은 까마귀촌에 수상한 점이 너무 많다는 것을 느낀다. 어느 날 김경덕이 회유하고 있었던 보부상 이기성이 처참하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그는 촌장의 아들 강태범을 범인으로 지목한다. 그러나 사건을 청취하기 위하여 마을의 주요 인물이 모인 자리에서 김경덕은 흥분한 강태범에게 살해당한다. 이를 시작으로 마을 사람들이 한 두 명씩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명준은 마을 사람들의 관계를 비롯하여 연쇄살인사건을 추리하면서 이와 같은 비극이 38년 전 마을에 있었던 일과 관계가 있을 것임을 직감하는데... 

승리했으나 나라와 백성의 삶이 너무나 황폐해져서 실제로는 패배라고 할 수 있는 민족의 치욕적인 과거 임진왜란. 이 전쟁으로 인하여 인적이 드문 산골 마을에 발생한 잔혹한 비극은 너무나 마음이 아팠다. 인간으로서 적국의 땅에 남겨진 패잔병들의 신세에는 동정이 간다. 그러나 배은망덕한 그들의 행동으로 인하여 마을 사람들이 처참하게 짓밟히는 것은 너무나 마음이 아프고 화가 났다. 이러한 비극은 도대체 누구의 탓으로 돌려야하는 것일까. 그저 패잔병의 탓으로 돌리기에는 무언가 답답하다. 전쟁이라는 시대적 아픔에 의한 비극은 아닐까? 이야기는 허구지만 정말 이런 일이 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역사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한 장 한 장 넘길수록 '왜?'라는 의문이 머리 속에서 떠나질 않기 때문에 점점 이야기 속으로 몰입하게 되는 매력이 있다. 게다가 반전까지! 칡처럼 얽히고 얽힌 인물들의 관계가 놀라웠다. 다만 명준이라는 인물이 진실을 밝혀내지만 연이어 발생하는 살인을 막을 수 없었다는 점이 한 가지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그래도 조선시대라는 시대적 배경을 생각하면 멋진 추리였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