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없어도 난 우아한 게 좋아
야마다 에이미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제목에서부터 여유로움이 느껴지는 '돈 없어도 난 우아한 게 좋아'는 주변으로부터 '태평하다'라는 소리를 자주 듣는 다소 철이 없는 40대 남녀 '사에키'와 '지우'의 독특하고 꾸밈 없는 사랑 이야기로서 남녀간의 사랑은 젊은 사람들만의 특권이 아니라는 것을 새삼 깨닫게 해주는 책이다. 

대학에서 철학과를 졸업했지만, 마흔이 넘도록 변변한 직업 없이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다가 아버지 퇴직금을 빌려서 친구와 함께 겨우 꽃가게를 마련한 '지우'와 학원에서 국어를 가르치며 낡은 전통집에 혼자 남게 된 이혼남 '사에키'는 타인의 시선 따위 아랑곳하지 않고 '당장 내일 죽을 사람들처럼 서로를 사랑한다'라는 말이 너무나 잘 어울릴 정도로 자유롭고 최선을 다하여 서로를 사랑한다. 다소 철이 없고 어린 아이 같은 두 사람의 모습이 한심하다기보다는, 물질적으로 서로에게 바라는 것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그저 서로가 서로의 안식처가 되어주기만을 바라는 모습이 순수하고 귀여웠다. 사회적으로 하나가 되었음을 인정을 받는 '결혼'이라는 형식적 절차가 없을 뿐이지 그들은 이미 정신적으로 분리할 수 없는 '하나'라고 느껴졌다. 게다가 서로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통해서 부족하지만 조금씩 어른스러워지고 좋은 방향으로 변화해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과연 나도 사에키와 지우 같이 물 흐르듯이 편안함을 추구하는 사랑을 할 수 있을까...? 대답은 아마도 NO. 솔직히 외모와 경제력 등의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순수하게 그 사람의 내면만을 보고 사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지 않을까? 어른들이 자주 하는 말처럼 사랑만으로는 정말 살 수가 없다. 아니면 혹시 내가 지금까지 진정으로 사랑한 적이 없기 때문은 아닐까... 어쨌든, 아직 젊은 축에 속하는 내가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이 다소 씁쓸하고 안타깝다. 

하지만 앞으로 나이를 먹어가면서 서로 닮아갈 수 있는 사람과 사에키와 지우처럼 귀엽고 알콩달콩한 사랑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