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만이라도 성실하게읽어봤다면, 켈수스도 성서를 비유적으로해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하지는못했을 것이다. 역사에서 출발하는 것이아니라 역사적 사건들을 말하고 있는예언들에서 출발한다면, 역사적인사실들도 비유적 해석을 위해 사용될 수있다는 것을 납득하게 된다.
동물을 해부했던 갈레노스와는 달리, 베살리우스는인체를 직접 연구했다. 갈레노스는 인체가 동물과 비슷하다는 가정하에 출발했지만, 베살리우스는 인간과 동물간의 미묘한 차이점을 모조리 파헤치면서 갈레노스의가정을 완전히 뒤집었다.
스코틀랜드 의사 중에는 최초가 아니라 최후의 인물로 명성을 떨친 사람이 있다. 바로, 에든버러에서 가장마지막까지 가마를 타고 왕진을 다녔던 제임스 해밀턴이다.
파라켈수스는 진보적인 사상과는 어울리지 않게 구닥다리 "처방을 믿었다. 시클라멘은 이파리가 사람의 귀를 닮았기 때문에 귓병에 좋고, 사프란은 노란색이기 때문에 황달에 좋고, 남자의 성기를 닮은 버섯은 발기불능에 좋다는 식이었다. 하지만 감기를 치료할 만한 색깔과모양을 갖춘 식물에 이르자 파라켈수스도 대답할 방법이 없었다.
파레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즐겨 썼다. "나는 환자의상처를 소독할 뿐이며, 상처를 낫게 하는 분은 하나님이다." 파레로서는 상처를 낫게 하는 것까지 혼자 하고싶었겠지만, 하나님과의 동업이라면 밑질 게 없는 장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