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중국은 전통적으로 아이의 예절과 사회성 지도를강조하는 사회이다. 1949년 이전의 중국의 전통적인 양육 교재에서도 응석받이 아이에 대한 문제를 많이 다루고 있으며, 문화혁명기에도 아이들이 조부모 손에 자라면서 응석받이가 된다고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었다. 그리고 대만에서도 응석받이버릇들이기가 양육의 큰 관심사이다.
더구나 지금의 중국은 개혁개방정책으로 향후 20~30년 후세계경제대국으로서 발돋움하면서도 사회주의 체제의 도덕성과 인간성을 잃지 않으려는 욕심을 가지고 있다. 개방의 과정에서 중국인들은 좋은 면에서건 나쁜 면에서건 중국 아이들이미국 아이들처럼 될까봐 우려한다. 그들은 창의성을 중시하는미국의 개인주의에 관심을 갖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