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을이네 장 담그기 ㅣ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6
이규희 글, 신민재 그림 / 책읽는곰 / 2008년 12월
평점 :
시어머님께 전화드렸더니 메주 만드려고 하루종일 콩을 삶으셨다고 하신다. 그제서야 아~ 장담그는 계절이 되었구나. 라고 새삼 깨달았다. 아파트 살기에 주변에 장담그는 사람이 거의 없고 이웃들 대부분 시댁이나 친정에서 장을 얻어오거나 사서 먹는다. 그러니 우리 아이는 장담그는 것을 본적이 없으니 장담그는 것에 대해 전혀 아는 것이 없다. 이런 책을 통하지 않으면 어찌 알까? 책으로라도 이렇게 장담그는 풍경을 만날 수 있어서 참 행복하다.
나 또한 시댁에서 된장, 간장, 고추장 그냥 가져오기만 할 뿐 한번도 만든 적도 옆에서 도와준적도 없기에 같이 책을 읽는 동안 아이 마냥 신기하다. 메주도 그냥 뚝딱! 장도 그냥 뚝딱! 만들어지는 줄 알았는데 이렇게 많은 정성이 필요할 줄이야. 된장,간장을 쳐다보는 눈길이 달라진다. 정성이 가득가득 들어간 녀석들이구나. 된장, 간장 너희들을 자주 애용해주마~
가을이네 장담그기 책을 보면 장담그는 풍경이 눈에 보는 듯 그려져있다. 시골 어느집을 살짝 문을 열고 장담그는 풍경을 보는 느낌이랄까? 풍경 뿐아니라 의성어와 의태어를 적절히 섞어서 장담그는 맛을 팍팍 살린 글 또한 일품이다. 도리깨 내리칠 때 '철썩철썩', 키를 까불때마다 차락차락, 콩이 잘 삶아져서 '탱글탱글', 메주가 잘 말라서 '꾸덕꾸덕', 항아리 속 장이 잘 익어가는 소리 '뽀글뽀글' .... 아이에게 읽어주면서 나 또한 입으로 장을 담고 있다.
장담그는 것이 이렇게 복잡해~ 라고 말할 정도로 긴 이야기건만, 읽는 동안 아이도 나도 책에 두눈 고정이다. 책 속에 보이는 가을이네 식구들이 표정이 어쩜 저리도 생생한지~ 삶은 콩이 뜨거워서 호호 불어먹는 가을이 표정, 메주 가지고 다양한 것(?) 들을 만드는 가을이를 곁눈질로 쳐다보는 할머니의 표정, 메주 뜨는 냄새에 코를 쥐어싸는 가을이 표정, 메주를 다는 것이 힘들어서 땀 뻘뻘 흘리는 아빠의 표정까지 뭐하나 놓치고 싶지 않다.
책 마지막에 "할머니, 내년에도 또 장 담글 거지요? " 라는 부분을 읽어주는데 엄마를 살며시 쳐다보더니 '엄마 우리도 장담그자'라고 하는데 차마 그러자라는 말이 안 나오네요. 다음에 마당있는 집에 살면 그러자라고 하기 했지만, 가족과 함께 장담그는 추억 하나 마련해주고 싶네요. 내년에는 시어머님 댁에 가서 장담그는 날 아이랑 함께 가봐야겠어요.
책 속에서 아이가 재미있는 말을 발견했다. 바로 아범~ 이다. 아범이라는 말이 뭐냐고 묻더니, 왜 우리 할머니는 아빠에게 아범이라고 부르지 않냐고 되묻는 것이 아닌가! 나중에 장가가서 자식 낳으면 엄마가 아범이라고 불러줄께 하면서 아이에게 아범이라고 불러주었더니 같이 덩달아 아범~ 아범~ 하며 신이났다. 얼마전 할머니가 오신날 할머니가 아빠를 '아이~'라고 부르자 옆에서 한마디 한다. 할머니 아범이라고 불러야지요~ 가족모두 한바탕 웃음 꽃이 폈다.
자~ 된장찌개가 오늘의 밥상의 주인공이라면, 아이랑 함께 <가을이네 장담그기>를 읽어보자. 책을 덮는 순간 된장찌개가 늘 먹던 그맛이 아니라 정성이 가득든 음식으로 느껴지리라~~
<가을이네 장담그기> 우리집 항아리도 금줄 달고, 버선발로 치장까지~
가을이네 장담그기를 보고 독후활동 해봤어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009/pimg_735618174702921.jpg)
'또 항아리에 새끼줄로 금줄도 치고 하얀 버선본도 거꾸로 부여두었어요.
오는 귀신은 금줄로 막고 가는 귀신은 버선 발로 차 버리라고요.'
>> 버선신어보고 버선으로 귀신 뻥~차보기
엄마가 한복 입는 경우가 거의 없으니 버선도 처음 봤지요. 아이가 마냥 신기한 듯 크기도 맞지 않는데도 열심히 신어보네요. 가는 귀신 버선발로 차버리라고 버선본을 항아리에 거꾸로 붙여놓는다고 말하고 직접 아이랑 함께 한명이 귀신이 되고 한명은 버선발을 신은 사람이 되어서 뻥 차버리는 놀이도 해봤어요. 직접 해보니 더욱더 신이나지요. 버선발로 뻥차는 놀이에 웃음꽃 만발이네요.
>> 항아리에 버선본 거꾸로 붙이고 금줄도 달아보자.
집에 있는 된장 항아리를 찾았어요. 일단 버선본을 꺼꾸로붙여볼까요! 화선지로 버선본하나 만들어서 붙이는데 ..자꾸 엉뚱하게 붙이네요. 거꾸로라니까~~ 겨우 거꾸로붙이고 이제 우리 금줄만들기 하자. 하지만, 새끼줄이 없네요. 대신 종이노끈으로 새끼줄을 대신하고, 빨간고추, 솔가지, 화선지를 엮어서 금줄을 만들었어요.
우리집 된장 항아리가 다시 태어나는 날입니다. 이제 금줄두르고 버선발까지 붙인 항아리가 되었네요.
우리 집 올해 장맛은 걱정 없겠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009/pimg_73561817470292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