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 천년의 비밀을 밝혀라! 피어라 우리 문화 2
김해원 지음, 조승연 그림, 김형진 감수 / 해와나무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종이 한지에 대해서 정말 무지 했다는 생각이 든다. 왜? 이렇게 좋은 우리 것을 모르고 있었을까? 한지하면 빛이 잘 들어오게 하고 습도조절을 한다는 정도는 알았지만 천년넘게 변하지 않는 세계적으로 우수한 우리의 유산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집에 있는 책들을 살펴보니 십여년전에 산 책들의 경우 색이 바래거나 종이가 누렇게 변해있다. 과연 이 종이로 천년을 견딜 수 있을까? 일반적인 종이로 천년의 세월에 다 부스러져버릴 것이다. (책을 읽다보니 공기 노출시 종이의 보존기간은 약 200년 이라고 한다. ^^) 천년을 세월을 견디는 종이 바로 한지를 만들어 낸 것이 우리 조상이라는 것이 더욱더 놀랄 뿐이다. 우리의 한지에 어떤 비밀이 숨어있는 것일까?

 

한지의 비밀을 캐러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여행을 하는 고길동과 코어를 따라가보자. 중국, 고구려, 신라, 일본, 2011년 대한민국~ 까지 정말 긴 여정이지만 따라가다보면 바로 그 비밀을 알 수 있다. 긴 여정 만큼이나 긴 이야기지만, 고길동의 어디로 튈지 모르는 재미있는 행동과 말에 저절로 흥미가 생기고 코어의 재치에 감탄하면서 지루함없이 읽게 된다.
 

 종이는 우리가 먼저 만든 것이 아니라 중국에서 처음 만들어져서 우리 나라로 전해진 것인데 그 화려한 발전은 중국이 아니라 우리 나라에서 이루어진 것이라니~ 새삼 우리 장인들의 솜씨는 세계 최고라는 생각이 든다. 

 

고길동의 재치로 결국 알아난 천년을 가는 튼튼한 한지를 만드는 방법을 보면 입이 떡 벌어진다.  좋은 재료에 정성과 시간이 들어가야지만 만들 수 있는 것이라서 이리도 우수한가보다.   한지는 고려시대에 꽃을 피우다가 조선후기에 들어오면서 잦은 전쟁으로 점점 그 질이 떨어지고 산업화를 거치면서 그 명맥만 겨우 유지되다가 요즘에서 다시 한지의 우수성에 대해 주목 받기 시작했다. 그 어려운 세월동안 우리의 전통을 이어와 준 한지 장인들에게 그저 고마울 뿐이다.  전통을 지키고자 얼마나 많은 고생을 했을까? 이제라도 그들이 전통 고수에 전염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지원이 이루어지길 바랄 뿐이다.  또한 한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다양한 방법을 찾아내어서 예전처럼 다시 우리 생활 속에서 한지가 많이 쓰이길 바랄 뿐이다.  그 결실에 맺어지는 그 때~  집 바닥은 기름 먹인 한지, 창은 한지, 한지사로 만든 옷, 한지 공예로 만든 다양한 집안 소품들이 있는 것이 그리 특별한 풍경이 아닐 것이다.

 

 

 

 

 (한지로 만든 스피커, 한지사로 만든 옷 - 한지를 이용한 다양한 시도가 정말 마음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