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된 기사를 대상으로 이 단어를 검색하면 영어권에서 이 단어가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으로 된 기사에서 이 단어가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 국내 언론의 영어판이다. 이 단어가영어권에서 사용되는 말이 아니라는 것을 지적한 2020년 3월 7일 자중앙선데이>의 기사에서도 확인된다. "이 기사는 한국외대 명예교수김우룡이 기고한 것으로 언택트는 영어권에서 만들어진 말이 아니라 한국에서 만들어진 영어, 즉 콩글리시라고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필자의 관심은 언택트가 콩글리시인지 아닌지가 아니다. 필자의 관심은 국내 연구진이 국내 도서를 출판하는 과정에서 왜 한국어를재료로 단어를 만들지 않고 영어를 재료로 단어를 만들었는가에 있다.
● 《트렌드 코리아 2018), 김난도 외, 미래의 창, 2017.
●● 〈비대면 untact marketing‘ 잘못 ... ‘direct marketing으로 써야), 김우룡,
중앙선데이, 2020.03.07.
244열번째 강의 - P2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