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바깥은 여름
김애란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죽음을 직접적으로 경험한 적이 없다. 직접적이라고 얘기해서 꼭 본인이 죽을 것 같다는 경계에 서있었다는 것을 언급하려는 것은 아니고, 이를테면 친척이나 주위 사람들의 죽을을 목격하거나 관여했다고 말할 수 있는 기억이 거의 없다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할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나에게 장례식장은 나이가 듦에 따라 자연스럽게 여러 번 가지 않을 수 없는 환경으로 조성되었고, 마치 조금이라도 이해할 수 있다는 듯한 성의를 내보이듯 나는 조문을 하게 되었다. 아무런 관계도 없는 듯 해보이는 고인과의 친분은 그의 가족이나 지인을 알고 지냈다는 조건으로 함께 슬퍼할 수 있다는 입장권이 되었다. 그래서 멀리멀리 돌아서 도착한 "죽음"이라는 단계에 내가 크게 감흥하거나 인상적으로 무언가를 말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님은 나 스스로가 가장 잘 알고 있었다.

서로 다른 죽음과의 관계를 얘기하고 있지만 그 형태의 본질이 어떻게 다양화 되어 구체화 될 수 있는지, 나는 조금이나마 멀찍이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서 소설집을 관망하듯 읽었다. 마치 알고 지내는 사람의 엿들을 소식마냥 나와 관련있으면서도 전혀 모르고 지낸 타인 대하듯 그렇게 말이다. 오랜만에 읽은 한국작가이었기 때문일까. 작가가 풀어헤친 문장과 단어사이로 스며드는 전개가 빠른 속도로 머릿속을 스며드는 듯이 조심스럽게 동시에 압도적으로 다가왔다. 글이 대놓고 대단하거나 엄청나거나 위압되는 모습이 아니었기에 묵묵히 퍼져나가, 시간이 흐른 뒤의 반응이 당혹스럽게 느껴지는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잘 맞아떨어져서 아무런 위화감없이 서로 얽힌 톱니바퀴마냥 죽음은 그렇게 삶에 연결되어있나보다. 뭐 그리 대단한 것 마냥 떠들어봐도 죽음은 사람이 느낄 수 있는 감정에 섞여서 삶과 시간에 적절히 교회될 수 있는 요소인가 보다.

이렇게 까지 삶을 포착하고 디테일하게 바라볼 수 있는 감성을 가진다면 얼마나 삶이 무섭게 다가올까. 슈퍼파워라고 불리는 히로물의 영상속에서의 그것이 꼭 상상속으로 유희되는 산물에 그치치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종종했다. 행동하나가 인상하나가 서로 한데 모여 새로운 논의를 하고 또 다른 모양으로 그 존재의 이유를 부각한다. 그건 느낄 수 있는 자만이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의 죽음이고, 작가는 무지한 독자를 위해 친절하게 순간을 포착하여 문자로 남겨주었다. 너무 좋은 글과 작가의 감성에 더 이상 무슨 할 말을 덧붙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