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있다는 착각
질리언 테트 지음, 문희경 옮김 / 어크로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인류학자’가 바라보는 사람들의 삶이 무엇인지에 관해 얘기하고 있어 다소 낯선 직업의 존재로 작가의 관점이 조금은 나와는 멀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작가와 같이 구태여 ‘인류학’이라는 무게감 있는 지식을 거론하지 않아도 우리가 일상의 삶에서 무언가 의구심이 들거나 궁금증이 생겼다면, 결국 그것이 바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로 인류학자로서의 사고와 동등하다고 말할 수 있다. 
기업과 문화와 그리고 사회와 한 개인의 주변을 둘러싼 모든 것들은 대상의 사고를 조정하려 하고, 그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누군가를 생각하게 하려 한다. 만약 이러한 의도를 당신이 의식하지 못한다면 이미 그들의 논리에 익숙해져 있거나, 습관처럼 쌓아온 습관 탓으로 문제의 본질을 외면해 버렸다는 증거일 수도 있겠다. 
알고 있다는 착각은 많은 것을 의미한다고 작가는 말한다. 그것은 고정관념이라는 규격화된 사고방식을 의미하기도 하고, 동시에 본질은 그 프레임 자체를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에 있다. 그는 물물교환이라는 고리타분한 방식이 여전히 남아있는 이유로 작가는 개인정보의 데이터와 무료 서비스의 교환이 자연스럽게 사람들에게 정착됨을 예시로 들었다. 또한 사회가 규정한 방향대로 읽어 내려간 타문화와의 인식 역시 항상 동일할 수 없으며, 대중의 의견이 항상 옳지도 않으며 때로는 소수의 의견이 묵인되기 일쑤이지만 그것이 해결책이 될 수도 있음을 강하게 언급하였다. 다만 작가는 인류학이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도구로써 작용할 수도 있으나, 때로는 전혀 의미 없는 대안으로 치부되며 불필요한 데이터로만 남을 수도 있다는 조금은 모호한 어조로 학문에 대한 책임성을 흐렸다. 하지만, 학문이라는 딱딱한 규격 안에서 설명하려 하지 않아도, 열린 자세로 앞서 타인의 의도를 받아들일 수 있는 인간으로 남을 수 있다면 그 어떤 것도 상관없지 않을까. 세상에 공짜란 정말 없다. 결론은 단순하다. 이해하려는 선의 없이 제한된 스스로의 생각에 빠져 남을 배려한다고 친절을 베풀 수는 없다. 그건 그야말로 폭력이다. 분명 작가는 어쩌면 어느 것도 일방적일 수 없다는 아주 사소한 개념을 일깨워 주려했는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